▲ 건설현장. 사진제공 = 픽사베이
27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쌍용E&C와 성신양회는 7월부터 시멘트 가격을 올리기로 결정했다. 쌍용E&C는 1종 벌크시멘트 가격을 톤당 10만4800원에서 11만9600원으로, 성신양회도 10만5000원에서 12만원으로 인상할 계획이다.
이에 업계에선 한일시멘트, 아세아시멘트, 한일현대시멘트, 삼표시멘트 등 나머지 시멘트 회사들도 줄줄이 가격을 올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는 2021년 톤당 7만5000원과 비교하면 4만5000원(60%) 인상했다.
대한건설자재직협의회는 시멘트 인상 계획을 밝힌 쌍용C&E에 공문을 보내 “유연탄의 원가 비중을 감안할 때 약 25%의 단가 인하 요인이 발생했다”며 원가 분석 근거 자료를 제출해달라고 요청했지만 아무런 답을 듣지 못한 상태로 알려졌다.
이에 정비사업 현장에서는 공사비가 평당 1000만원에 이르는 수준으로 언급된다. 이미 계약을 체결한 일부 사업장에서도 시공사의 공사비 인상 요구를 받아들이지 못하며 갈등을 빚는 모습이 연출되고 있다. 시공사는 아무리 사업성이 있다 해도 출혈경쟁까지 하면서 사업을 따내는 게 맞지 않다고 생각해 사업을 포기하는 곳이 늘어나는 분위기다.
실제로 GS건설은 부산시민공원 촉진 2-1구역 도시환경정비사업조합과의 공사비 인상 문제로 계약이 해지됐다. 그동안 GS건설과 조합은 공사비 증액 문제로 갈등을 겪었기 때문이다. 지난 2015년 시공사 모집 당시 제시된 공사비는 3.3㎡당 550만원 수준이었다. 다만 지난 3월 양측이 협상위원회를 열고 공사비를 논의했을 때 조합 측에서 3.3㎡당 807만원을 제안했으나 GS건설은 3.3㎡당 972만원을 제시하면서 갈등이 생겼다.
GS건설 관계자는 “지난 8년간 원재재 값·인건비가 큰폭으로 증가하면서, 공사비를 증액할 수밖에 없었다”며 “특히 조합 측에서 요청한 새로운 설계는 초고층 주상복합으로 일반아파트 공사와는 다르게 공사비가 많이 든다”고 강조했다. 당초 65층으로 건설될 예정이었던 아파트가 설계변경을 통해 최고 69층으로 결정됐고, 손해를 보면서 공사를 진행할 수는 상황이었다는 게 GS건설 측 설명이다.
DL이앤씨가 경기 과천시 '과천주공 10단지' 재건축 정비사업 참여를 포기하는 일도 발생했다. DL이앤씨는 과천주공 10단지 조합원에게 보낸 공지문에서 “최근 건설경기 및 수주환경 등 외부 상황에 여러 변화가 있었고 수주 방향에 대해 많이 고민하게 됐다"며 "긴 내부 논의를 거쳐 부득이하게 재건축사업 참여가 어렵다는 결정을 내리게 됐다”고 전했다.
또 최근에는 대우건설이 울산 동구의 한 주상복합 개발 사업의 후순위 대출 보증(브릿지론) 440억원을 자체 자금으로 상환하고 시공권을 포기하는 사례가 나오기도 했다. 브릿지론이란 신용도가 낮은 시행사가 공사착공 전에 제2금융권으로부터 조달하는 단기 차입금을 뜻한다.
중견 건설사들도 상황은 비슷하다. 반도건설은 경기도교육청 남부청사 부지에 500가구, 공사비 약 5000억원 규모의 아파트 단지를 지으려 계획했다. 다만 부동산 경기가 하락하고 관련 주체 등의 협상이 불발되면서 결국 사업 계획을 철회했다.
쌍용건설도 경기 군포시 설악주공8단지 리모델링 사업의 우선협상대상자 지위를 포기했다. 이 사업은 1471가구 아파트를 1691가구로 증축하는 대규모 프로젝트였지만, 쌍용건설은 시장 현황과 수익성을 고려했을 때 손해가 예상되면서 철회를 경정했다.
중견 건설사 관계자는 “자재비 인상은 대형사보다도 중소건설사가 더 큰 타격을 받는다. 통상적으로 중·소건설사는 지방을 중심으로 시공을 진행하기 때문에, 사업장마다 대거 미분양이 나면서 자금 회수가 어려워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공사비가 급등하면 마진은 줄고, 공사를 진행하기조차 버겁다”고 토로했다.
최태섭 신동아종합건설 이사는 “공사예산 책정이 3~4년 전 수준이다 보니 우리가 그 공사비로는 도저히 공사를 못할 지경까지 왔다”며 “인건비가 한번 올라가면 떨어지지 않고, 자재비는 인상되면서 예산 확보가 되질 않는 반복되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 1분기에만 폐업 신고를 한 건설사는 1727곳여곳으로 전년 동기(1372곳)보다 25.9% 증가했다.
일각에선 정부가 건설사들에게 자구책을 고집하는 것이 아닌, 소통을 늘려 제대로 된 안내를 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도 있다.
안형준 건국대 건축공학과 교수는 “이번 급격한 시장변화는 대·소형 건설사할 것 없이 힘든 환경이 됐다. 대형사도 힘든 환경에서 중·소기업 경영은 더욱더 힘들어진 상황”이라며 “정부는 무조건적인 자구책 마련, 찍어누르기 정책을 펼치기 보다는 설명회·공청회 등을 통해 변화하는 환경에 맡는 안내를 해줘야한다”고 강조했다.
안 교수는 이어 “이런 소통을 통해 건설업계가 수주를 안하고, 건설사가 헤매고 있는 정책, 폐업이 많아지는 이유를 살피고 대책을 마련하고, 더 악화될 수 있는 환경에 대비해야 한다”며 “건설업계 특성상, 중소기업이 살아야 대기업도 산다. 나라가 잘되기 위해선 건설사들과의 소통으로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덧붙였다.
주현태 기자 gun1313@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