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BNK부산은행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연체율과 고정이하여신비율도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올해 1분기 부산은행의 연체율은 0.11%p 상승한 0.73%로 지속적인 오름세를 보였다.
부산은행은 대출 포트폴리오 개선과 생산성 제고 등을 통해 체질 개선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28일 BNK금융그룹이 발표한 2025년 1분기 경영실적 보고서에 따르면 부산은행의 1분기 당기순이익은 856억원으로, 전년 동기(1252억원) 대비 31.6% 감소했다.
영업이익도 전년보다 34.9% 줄어든 966억원에 그쳤다.
순이자마진(NIM)은 1.84%로 전년(1.93%) 대비 0.09%p 하락했다.
주요 수익성 지표인 ROE(자기자본이익률)와 ROA(총자산수익률)도 악화됐다.
비용효율성 지표인 CIR은 40.91%로, 전년 대비 2.21%p 개선됐다. CIR은 은행의 운영 효율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수치가 낮을수록 수익 대비 비용이 적게 든다는 의미다.
올해 1분기 기준 부산은행의 총자산은 79조2779억원으로, 전년 동기(78조3520억원) 대비 1.2% 증가했다.
부산은행의 원화대출도 대기업 중심으로 늘어났다.
올해 1분기 부산은행의 연체율은 0.73%로 전년 동기 대비 0.11%p 상승했다. 연체율은 2023년 1분기 0.33%, 2024년 1분기 0.62%에 이어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
고정이하여신(NPL)비율도 0.66%p 오른 1.10%를 기록했다. 고위험 여신을 완충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주는 NPL커버리지비율은 1분기 기준 112.10%로, 전년 동기(269.78%) 대비 157.68%p나 떨어졌다.
자본적정성 지표인 보통주자본(CET1)비율과 BIS비율도 악화됐다.
CET1 비율은 15.16%로 0.01%p 하락했고, BIS비율은 16.33%로 0.32%p 감소했다.
방 은행장은 취임 당시 “부산은행은 지역과 함께하는 든든한 동반자로서 지역 기업, 소상공인을 위한 적극적인 금융지원과 상생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한 바 있다.
다만 1분기 실적은 경기둔화에 따른 부실 증가 반영으로 향후 적극적인 건전성 관리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부산은행은 자산건전성 회복과 실적 개선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대출 포트폴리오 개선과 생산성 제고 등 체질 개선 노력을 통해 시장의 신뢰에 보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방침이다.
우한나 한국금융신문 기자 hanna@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