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시청 전경. 사진제공 = 서울시
서울시는 올해부터 도심 내 정비예정구역을 대상으로 신속통합기획 및 공공정비계획 수립에 들어간다.
‘신속통합기획’은 서울시가 재건축 계획을 짜는 단계에서부터 신속한 사업 추진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최근 결정된 ‘2030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도시정비형 부문)’에서 도심내 정비예정구역이 확대됨에 따라 시는 이들 대상지에 신속통합기획을 적용, 도심 정비 및 활성화를 더욱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게 됐다.
‘도시정비형 재개발’은 상업지역 등에서 도시기능 회복과 활성화를 목표로 시행하는 정비 방식을 말한다. 공공이 우선 토지이용·기반시설·건축물 밀도 등에 대한 계획(이하 공공정비계획)을 수립한 뒤 단위사업별로 민간사업자가 세부 건축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시는 신속통합기획을 적용한 공공정비계획이 마련되면 ▲중심지 기능 복합화 ▲녹지생태도심 조성 ▲직주혼합도시 실현을 위한 계획과 역사·문화유산 등 정책변화에 따른 새로운 정비 방안을 제시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사업 실현 가능성을 높여 적극적인 민간 참여도 유도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기존 토지이용과 기반시설 위주의 정비 계획에 경관·가로활성화 계획 등 건축기획 설계 요소가 종합적으로 반영된 ‘도시·건축 통합설계 지침’을 마련, 특화 디자인이 반영된 건축물의 형태와 컨셉도 구체화해 나갈 방침이다.
시는 이번 결정을 통해 낙후된 도심이 체계적으로 정비돼 도시 전체의 활력을 견인할 뿐 아니라 ‘미래 성장거점’ 육성에 가속을 붙여 서울의 도시경쟁력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공간본부장은 “신속통합기획이 도시정비형 재개발까지 확대되면서 그간 각종 규제로 한계에 직면해 있었던 도심 개발에 새 숨을 불어 넣게 될 것”이라면서 “이를 통해 노후한 도심 정비를 앞당겨 서울의 성장과 혁신을 이끄는 발판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주현태 한국금융신문 기자 gun1313@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