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수출입은행 본사 / 사진제공 = 한국수출입은행

수출입은행은 11일 미국 신정부의 상호관세 등에 따른 수출 위기 대응을 위해 약 20조원의 정책자금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먼저 관세 등 수출환경 변화, 주요국과 경쟁 심화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리 기업의 수출과 해외 진출을 돕기 위해 6조 5000억원 규모의 위기대응 특별프로그램을 신설한다.
이를 통해 신용도가 낮고 대외 환경 변화에 취약한 중소·중견기업에 대해 최대 2%p까지 금리를 인하, 신용등급 하락으로 인한 금융비용 부담 등 경영 어려움을 완화할 계획이다.
통상대응·신시장 개척·ESG 대응 등을 위해 수은이 자체 비용으로 지원하는 '종합 컨설팅 서비스'의 규모도 50억원에서 100억원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기존 수출 관련 대출에 한해 무상 제공해 온 '대출 통화전환옵션'을 수입 관련 대출까지 확대 시행하므로, 고환율로 어려움을 겪는 수입기업의 환위험 관리도 지원한다.
'통화전환옵션'이란 중소·중견기업에 대해 대출 기간 중 최대 2회까지 대출통화를 전환(원화↔외화, 외화↔여타 외화) 할 수 있는 권리를 무상으로 부여하는 서비스다.
대기업과 동반 해외 진출을 했거나, 국내에서 대기업에 납품하는 중소·중견기업에도 총 3조원의 상생금융을 지원한다.
이밖에도 수은은 다양하고 충분한 판매처 확보를 지원하기 위해 신시장 개척 등 수출다변화 기업에 금리 인센티브와 함께 약 1조원의 금융을 제공하기로 했다.
미래 신산업 육성과 기존 주력산업의 고부가·친환경 전환을 위한 R&D 관련 대출한도도 최근 3년평균 경상 R&D 지출의 30%에서 50%로 늘릴 방침이다.
수은은 기존 대출에 더해 첨단전략산업 등 신산업육성에 긴요한 '투자금융', 지난해 신설해 운영 중인 연 10조원 규모의 '공급망 안정화기금' 등 정책금융 수단까지 총동원할 예정이다.
수은 관계자는 “복합적 경제·산업 위기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적시에 과감한 정책적 지원이 필수적”이라며 “우리 기업이 새로운 통상질서, 산업환경 재편 등 대외환경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9일 ‘제3차 수출위기상황 점검회의’를 개최, 국내외 경제상황을 평가하고 통상환경 변화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기업에 대한 구체적인 지원방안을 논의한 수은은 앞으로도 다양한 방식을 통한 우리 기업 지원에 적극 나설 방침이다.
김성훈 한국금융신문 기자 voicer@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