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D한국조선해양이 지난 18일(현지 시각) 미국 MIT에서 'MIT 조선해양 컨소시엄'의 발족식을 가졌다. 테미스 삽시스 MIT 해양공학센터장(오른쪽 첫 번째)과 장광필 HD한국조선해양 미래기술연구원장(오른쪽 일곱 번째)이 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HD한국조선해양
이미지 확대보기
HD한국조선해양은 지난 18일(현지 시각) MIT에서 'MIT 조선해양 컨소시엄(MIT Maritime Consortium)' 발족식을 가졌다고 28일 밝혔다.
이 컨소시엄은 MIT 해양공학과와 슈워츠먼 컴퓨팅 대학(MIT Schwarzman College of Computing)이 주관하며, 조선해양 분야 기술혁신과 탈탄소화를 주요 목표로 한다.
컨소시엄에는 HD한국조선해양과 MIT를 비롯해 그리스 해운사 캐피탈(CAPITAL)과 미국선급(ABS) 등 조선해양 분야 선도 기업 및 기관이 창립멤버로 참여했다. 그리스 해운사 도리안(DORIAN)과 싱가포르 해양연구소(SMI), 영국 재생에너지 투자사 포어사이트 그룹(Foresight Group) 등도 혁신 멤버로 참여해 연구개발을 진행한다.
HD한국조선해양은 컨소시엄 참여를 통해 자율운항 전문회사 아비커스 '하이나스 컨트롤(HiNAS Control)'을 비롯해 현재 개발 중인 인공지능(AI) 기반 통합 자율운항 설루션을 실증한 후, MIT 연구진과 공신력 있는 연비절감 효과 검증 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조선업계 미래 선박으로 주목받고 있는 소형모듈원전(SMR) 추진 선박 개발을 고도화해 해상 원자력 기술 상용화를 앞당긴다는 목표다.
MIT 해양공학센터장인 테미스 삽시스(Themis Sapsis) 교수는 "이 컨소시엄은 조선해양 분야의 탈탄소화를 위한 신기술 개발과 국제표준을 세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미래 선박의 핵심 분야인 자율 운항, AI, 원자력 기술 접목 등 MIT가 주력하고 있는 다양한 분야에서 최고의 결과를 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장광필 HD한국조선해양 미래기술연구원장은 "아비커스와 공동으로 개발 중인 다양한 AI 기반 자율운항솔루션에 대한 통합 검증에 나설 예정"이라고 전했다.
HD한국조선해양은 산학연 협력을 강화해 조선해양 분야 미래원동력 확보에 나서고 있다. 지난해 7월에는 미국 미시간대학교, 서울대학교와 '조선산업 인재육성을 위한 교육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바 있다. 지난 7일에는 정기선 수석부회장이 미 해군사관학교에 방문해 조선해양 분야 발전 방향과 연구과제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기도 했다.
신혜주 한국금융신문 기자 hjs0509@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