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이동통신 3사 수장이 사상 처음으로 MWC 현장에 모두 참석한다. 사진은 (왼쪽부터) 유영상 SKT 대표, 김영섭 KT 대표, 홍범식 LG유플러스 대표. / 사진=각사
이미지 확대보기24일 통신 3사에 따르면 유영상닫기

통신 3사는 올해 본격적인 ‘돈버는 AI’를 목표로 자체 AI 인프라 등 B2B(기업 간 거래) 영역은 물론 AI 에이전트 등 일상 속 B2C(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 영역까지 AI 사업을 확장한다. 이 때문에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글로벌 협력체계와 고객사 확보가 중요한 시점이다. 3사 대표 모두 MWC 글로벌 주요 통신 및 AI 기업이 총 집결하는 만큼 글로벌 논의를 위한 바쁜 일정을 소화한다.
먼저 유영상 SKT 대표는 현재 추진 중인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 전략을 위한 글로벌 고객사 확보에 집중한다.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는 AI 데이터센터 등 인프라 사업을 축으로 통신과 AX(AI 전환) 현신을 주도한다는 전략이다.
SKT는 이번 MWC 2025에서 ‘혁신적인 AI, 미래를 앞당기다’를 주제로 통신 서비스와 인프라를 AI로 고도화하는 이동통신 본연의 영역은 물론, 최근 각광받는 AI 데이터센터 솔루션·로봇 자율주행·글로벌 영상 콘텐츠 현지화 지원 기술 등 산업에 실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AI 역량을 소개한다.
특히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의 핵심인 AI 데이터센터 솔루션 사업을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인 에너지·운영·AI 메모리·보안 관련 기술과 서비스를 총망라해 공개한다.
유영상 대표를 비롯한 SKT 경영진은 이번 MWC에서 글로벌 선도기업들과의 미팅을 이어가며 민간 차원의 ICT 외교를 주도해 나갈 계획이다. SK그룹 차원에서 주목받고 있는 AI 데이터센터, AI 기반 통신기술 등 다양한 영역의 협력이 기대된다.
유영상 SKT 대표는 “AI 산업의 진화 방향을 파악하고 발빠르게 미래를 준비하는 당사의 다양한 기술력을 공개할 계획”이라며 “자체 기술력과 글로벌 파트너십을 양날개로 실체적 성과를 만들어가는 모습을 세계에 알릴 것”이라고 밝혔다.
MWC를 주관하는 GSMA의 이사회 멤버인 김영섭 KT 대표는 개막 전날 열리는 GSMA 이사회 참석을 시작으로 MWC 2025 일정을 시작한다. 이번 MWC 2025의 주제가 ‘융합, 연결, 창조’를 제시한 만큼 KT가 마이크로소프트와 함께 추진 중인 금융권 AX 등 다양한 AI 전략 등을 소개하고 고객사를 확보하는데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KT도 ‘K-STREET’를 테마로 한국의 길거리를 걸으며 AI 기술과 어우러진 일상 속 특별한 경험을 제공한다. KT 전시관은 MWC 2025 주 전시장 4관 내 GSMA 테마관인 ‘커넥티드 인더스트리’에 위치하며, 지난해보다 1.7배 확장된 383㎡ 규모로 조성된다. KT는 K-컬처와 AI를 결합한 7개 테마 공간을 마련해 해외 관람객들에게 한국의 첨단 기술과 문화를 알린다.
특히 ▲KT 광화문빌딩 WEST 사옥을 모티브로 한 ‘K-오피스’ ▲미래 경기장 콘셉트 공간인 ‘K-스타디움’ ▲미래 네트워크 기술을 소개하는 ‘K-랩’ 등을 통해 AI와 공간의 결합을 집중적으로 선보인다. 김영섭 대표는 MWC 2025 기간 동안 KT부스를 돌아보고 다양한 글로벌 기업들과 협력을 논의한다.
지난해 LG유플러스의 신임 대표로 선임된 홍범식 대표는 이번 MWC 2025가 첫 국제 무대 데뷔전이다. 홍범식 대표는 LG유플러스 주요 경영진과 다양한 기업들의 서비스와 기술을 살피고, AI, 네트워크, 플랫폼 등 분야 빅테크 기업들과 만나 글로벌 협력 확대를 논의할 예정이다. LG그룹의 전략가로 불리는 홍범식 대표인 만큼 이번 MWC에서 어떤 글로벌 협력 성과를 이끌어 낼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홍범식 대표뿐만 아니라 LG유플러스도 이번 MWC 2025 첫 데비전이라고 볼수 있다. LG유플러스는 처음으로 MWC에 단독 부스를 꾸리고 AI 중심의 미래 기술을 선보인다. 특히 고객의 AI 사용에 있어 가장 중요한 가치 중 하나인 ‘보안’을 중심으로, 차별화된 AI 기술력을 전세계에 소개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자체개발 통신특화 AI 모델 ‘익시젠(ixi-GEN)’ ▲양자컴퓨팅 시대에 앞서 안전한 보안 환경을 제공하는 'PQC(양자내성암호)' ▲딥페이크 목소리를 구분해 보이스피싱을 방지하는 기술인 ‘안티딥보이스(Anti-DeepVoice)’ ▲ 모바일에 이어 홈으로 확장 중인 퍼스널 AI 에이전트 '익시오(ixi-O)' ▲AI 기반의 영상 분석 솔루션 '익시 비전(ixi-Vision)' ▲수도권 최대 규모 데이터센터인 'AIDC' 등을 앞세워 글로벌 고객과 협력사들의 눈길을 사로잡는다는 구상이다.
이밖에 ▲익시오를 활용한 자동 스케쥴링 및 검색 예약 구매 ▲미디어 에이전트를 활용한 콘텐츠 추천 및 실시간 자막 위치 변경 ▲기업용 AI 솔루션을 활용한 파트너사의 페인포인트 해결 사례 ▲익시가 탑재된 휴머노이드 로봇과 디지털 휴먼 등 LG유플러스의 AI를 적용한 각종 B2C 서비스를 소개한다.
김재훈 한국금융신문 기자 rlqm93@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