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서울시는 제2차 도시계획위원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이 담긴 토지거래허가구역 조정(안)을 승인했다. 13일 공고 후 조정안의 효력이 발휘된다.
현재 서울 시내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된 곳은 총 65.25㎢ 규모다. 세부적으로 ▲대치동·삼성동·청담동(강남구)과 잠실동(송파구) 등 국제교류복합지구 일대(14.4㎢) ▲압구정동(강남구)·여의도동(영등포구)·목동(양천구)·성수동(성동구) 등 주요 재건축‧재개발 단지(4.58㎢) ▲신속통합기획 및 공공재개발 후보지(7.75㎢) 등이다.
여기엔 ▲모아타운(도로) 11.11㎢ ▲강남·서초 자연녹지지역 26.69㎢ ▲용산정비창(국토교통부 지정) 0.72㎢ 등도 포함됐다.
시는 국제교류복합지구 인근 4개동(송파구 잠실동·강남구 삼성·대치·청담동)에 위치한 아파트 305곳 중 291곳에 대한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을 즉시 해제한다. 다만 안전진단이 통과된 재건축 아파트 14곳(1.36㎢)은 재건축 추진 기대에 따른 매수 대기 유입 등 투기 과열 가능성이 있어 지정을 현행과 같이 유지하기로 했다.
14개 단지는 대치동에서 ▲개포우성1‧2차 ▲선경 ▲미도 ▲쌍용1‧2차 ▲우성1차 ▲은마 등 8곳이 포함됐다. 삼성동과 청담동에선 각각 진흥, 현대1차 아파트, 송파구에선 ▲주공5단지 ▲우성 1‧2‧3차 ▲아시아 선수촌 등 단지의 의 토지거래허가제가 유지된다.
신속통합기획 재건축‧재개발 사업지 123곳 중 정비구역 지정 후 조합설립 인가까지 끝낸 6곳에 대해서도 즉시 지정을 해제한다. 이번 해제를 시작으로 조합설립 인가 여부에 따라 2027년까지 총 59곳에 지정된 토지거래허가구역을 순차적으로 해제한다는 방침이다.
이은형닫기
![](https://cfnimage.commutil.kr/phpwas/restmb_setimgmake.php?pp=006&w=172&h=172&m=1&simg=2021043016175906239c1c16452b0175114235199.jpg&nmt=18)
업계에선 이번 토지거래허가제 해제로 집값·거래량 상승은 물론, 점진적으로 부동산시장이 회복 될 것이라는 평가가 이어진다.
이은형 위원은 “일부 집값 상승이 나타나더라도 이를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의 부작용으로 간주하기는 불충분하다. 지난해부터의 대출축소 등 규제기조를 감안하면, 당장의 큰 부정적 영향이나 큰 부작용은 없을 것”이라며 “인위적으로 억누른 요인이 사라지거나 해소된 만큼, 가격도 시세에 맞춰 변동하게 된다”고 전망했다.
양지영 신한금융그룹 자산관리컨설팅부 수석은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해제가 되면 해당 지역 내 실거주 의무 조건이 사라지면서 갭투자가 다시 가능해진다”며 “현재 잠실·삼성·대치·청담동은 신축 아파트의 희소성이 높은 지역으로, 규제 해제 후 매수세가 늘어나면서 단기적인 가격 상승 압력이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장기적으로는 시간이 흐르면서 점진적으로 부동산 시장이 정상화를 찾아갈 것으로 본다”며 “추가적으로 시행될 스트레스DSR3단계, 대내외적인 경제 불확실성 등으로 해제의 효과 역시 희석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주현태 한국금융신문 기자 gun1313@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