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월 건설업 위기설 현실화 우려. 사진 = 픽사베이](https://cfn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5020921565104260dd55077bc25812315232.jpg&nmt=18)
▲ 4월 건설업 위기설 현실화 우려. 사진 = 픽사베이
지난해 주택건설업을 시작한 업체가 15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경기 침체가 이어진 영향으로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5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대한주택건설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주택건설업 신규 등록 업체는 421곳으로 집계됐다. 연간 신규등록 업체 수 기준으로 2009년(363곳) 이후 최저치다.
주택건설업 신규등록 업체는 2021년 2191곳에 달했지만, 2022년 1086곳으로 절반 수준으로 급감했다. 2023년에는 429곳까지 하락한 바 있다.
박철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지난해 주택 신규사업 물량이 2023년보다는 늘어나면서 신규등록 업체가 급감하는 흐름은 멈춰 선 것으로 보인다”며 “고금리 부담이 완화되고 있긴 하지만 올해 공사물량도 워낙 위축돼 있기 때문에 저점을 지나고 있다”고 진단했다.
지난해 사업이 어려워 주택건설업 등록을 자진 반납한 업체는 796곳으로 2023년 843곳보다는 줄었다. 그러나 10년 장기 평균치인 606곳 대비로는 약 200곳 가까이 많았다.
요건에 부합하지 못해 주택건설업 등록이 말소된 업체는 192곳으로 2023년 246곳보다 54곳(22%) 줄었다. 이에 따라 지난해 주택건설업 등록업체는 전년보다 567곳(6.0%) 감소한 총 8823곳으로 집계됐다.
주택만 아니라 전반적인 건설경기가 침체해 종합건설업도 신규등록이 줄고 폐업은 늘고 있다.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종합건설업 신규등록 업체는 434곳으로 전년(1307곳)보다 67% 줄었다. 그러나 폐업업체는 516곳으로 23% 늘었다. 지난해 부도 처리된 건설업체는 모두 29곳으로 2019년(49곳) 이후 5년 만에 가장 많았다.
특히 올 1월에만 접수된 폐업건수는 총 317건으로 확인됐다. 이 가운데 종합건설사만 57곳이 포함되면서, 해마다 반복된 4월 위기설도 올해는 현실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자금력이 약한 지방 건설사들이 큰 타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경남 지역의 건설사 시온건설개발도 도산을 이유로 이달 폐업을 신고했다.
시온건설개발이 시공 중이던 강원 춘천시 시온숲속의아침뷰(318가구)의 공사는 공정률 77%까지 진행된 상태에서 중단됐다.
해당 업체는 울산 서영숲속의아침뷰(483가구)와 청주 시온숲속의아침뷰(476가구) 등을 분양한 회사다. 공사 전문회사 코다홈즈건설과 충북 지역 건설사인 대동건설도 사업을 포기했다.
여기에 지난해 신동아건설에 이어 경남 지역 2위 건설사인 대저건설이 법정관리를 신청한 바 있다. 문제는 법정관리에 들어서면 기존 수주한 사업장의 원가율이 높아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 펼쳐진다는 점이다.
부동산 PF 대출에 참여한 금융기관들이 리스크 확대를 이유로 더 높은 금리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비용이 상승한다면, 하도급업체 대금 지급에도 어려워질 수도 있다.
워크아웃을 신청한 태영건설이 지난해 ▲대금 미지급 ▲대금지급 기일이 변경 ▲결제수단 변경 등으로 하도급업체들이 직간접적인 피해를 감내해야 했었다.
대부분 건설 현장은 이처럼 원도급사가 발주처와 계약을 맺고 세부 공정을 하도급 업체에 위탁한다. 이에 원도급사들의 자금난이 장기화 될수록 하도급은 물론 전반적인 건설업계도 휘청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건설사 관계자는 “부동산 침체기 장기화로 어려움을 겪은 원도급사들이 재정이 악화되면서, 하도급 건설사 폐업이 이어지게 되는 것으로 보인다”이라며 “최근 대형건설사는 대부분 재무 리스크를 줄인 문제점은 없겠지만, 지방 건설사나 하도업체는 고통스러운 시간을 보내고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또 다른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공사비 상승으로 선별수주 전략을 펼치고 있고, 신규 주택사업 수주도 최소화하면서 현장자체가 줄어들었다”며 “미분양 적체·미수금 등 유동성이 취약한 중소 건설사이 올해도 힘들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재무안정성 강화에 신경써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주현태 한국금융신문 기자 gun1313@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