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fnimage.commutil.kr/phpwas/restmb_setimgmake.php?pp=006&w=172&h=172&m=1&simg=2023070708090701804c1c16452b018222889185.jpg&nmt=18)
7일 DGB금융지주에 따르면 iM뱅크의 2024년도 당기순이익은 3710억 원으로 전년 대비 2.0% 증가했다. 하반기 대출수요 둔화와 순이자마진(NIM) 하락에도 불구하고 대손비용률이 안정세로 전환되면서 전반적으로 양호한 실적 흐름을 이어갔다.
총자산과 원화대출금, 원화예수금이 일제히 늘어나며 운용 및 조달에 청신호를 켰고, 연체율과 고정이하여신비율 등도 안정적인 선에서 관리됐다.
iM뱅크는 연결 기준 작년 한 해 영업이익 4533억원으로 전년보다 0.9% 감소한 성적을 거뒀으나, 매출은 전년대비 1.4% 늘어난 4조6884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4분기 영업이익은 342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90.9%나 급증하며 올해의 장밋빛 전망을 그리게 했다.
이자이익은 2023년 말 1조4985억원 규모에서 지난해 말 1조5390억원으로 늘었다. 다만 비이자이익 부문이 1067억원에서 332억원으로 줄었다. 충당금전입액은 지난해 4015억원에서 올해 3374억원까지 줄어들며 리스크를 다소 털어낸 모습을 보였다.
순이자마진(NIM)은 지난해 말 누적 2.02%였던 것이 올해는 1.90%로 다소 하락했다. 다만 대손비용률이 안정세로 접어듦에 따라 향후 실적 안정화 가능성이 커진으로 풀이된다.
대출 구조는 기업대출이 60.5%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가계대출이 37.1%, 공공 및 기타가 2.4%였다.
BIS자기자본비율은 16.53%에서 16.62%로 0.09%p, 보통주자본비율은 13.59%에서 14.33%로 0.74%p나 늘었다.
시중은행 전환 후 iM뱅크의 전국구 전략을 두고 “지난해 금융센터 3곳을 대구경북 외 지역에 개설했고 올해도 4곳을 포함해 2027년까지 14곳의 센터를 통해 전국을 커버한다는 전략”이라며, “풀뱅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규모 지점이 아닌 1인 지점장, PRM을 지원하는 지원조직, 디지털 고객을 담당하는 디지털케어조직 등 비용 효율 조직으로 가는 방침도 변함없다"고 밝혔다.
iM뱅크의 PRM여신은 2023년 말 3조3462억원 규모에서 작년 말 3조5786억원 규모로 늘었다.
장호성 한국금융신문 기자 hs6776@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