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부산(대표 정병섭)은 기내 화재 위험 최소화를 위한 선제적 조치를 단행한다. /사진=에어부산](https://cfn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50205080119047596febc6baa6125186174175.jpg&nmt=18)
에어부산(대표 정병섭)은 기내 화재 위험 최소화를 위한 선제적 조치를 단행한다. /사진=에어부산
에어부산은 기내 화재 위험 최소화 정책을 수립하여 7일부로 시행한다고 발표했다. 보조배터리의 기내 탑재가 큰 폭으로 증가하며 발열 등 이상 현상 발생 빈도가 높아짐에 따라 신속한 초동조치를 위해서는 즉각적인 발견이 중요하다고 판단했다.
특히 주목할 부분은 휴대 수하물 내 보조배터리 소지 유무를 사전 확인하는 절차다.
에어부산은 탑승구에서 휴대 수하물 내 배터리 소지 유무를 사전 확인하고, 기내에서는 탑승구에서 확인을 완료한 수하물만 선반에 보관될 수 있도록 통제를 강화한다.
탑승구에서 휴대 수하물 내 배터리가 있는지를 점검해 스티커나 택(TAG) 등의 별도 표식을 부착하고 기내에서는 표식이 부착된 수하물만 선반 보관이 가능하도록 허용한다. 이달 7일부터 일부 노선에 시범 운영을 거친 후 전 노선으로 확대 운영한다.
보조배터리의 기내 탑재를 전면 금지할 수 없는 현실적 제약을 감안, 탑승객 스스로의 점검을 유도하고 배터리 이상 현상이나 화재 발생 시 신속한 초기 대응을 할 수 있도록 조성했다.
에어부산은 예약·발권 및 탑승수속 단계에서 기존 안내에 더해 보조배터리 기내 선반 탑재 금지에 대한 동의 절차를 시행하고, 출발 1일 전 예약 고객 대상 별도의 안내 문자를 발송하는 등 대고객 안내도 강화한다.
기내 안내 방송도 기존 2회에서 3회로 확대 시행하기로 했다. 에어부산은 구체적이고 명확한 내용으로 기내 안내 방송문을 보완해 지난달 31일부터 이미 변경 적용하고 있다.
기내 화재 발생 시 신속한 초기 대응과 효과적인 화재진압을 위해 객실승무원 훈련도 대폭 강화한다. 에어부산은 교육용 화재진압 시범 동영상을 직접 제작해 전 승무원을 대상으로 즉시 교육을 하고, 화재 단계를 고려한 상황별 모의 훈련도 함께 진행한다. 사옥 내 화재진압 훈련시설도 개선한다.
연무기 설치 등 실제와 유사한 상황에서 승무원이 훈련하기 적합한 환경을 조성한다. 또한, 지역 소방본부 등 전문기관 교육 이수를 통해 전문성을 한층 더 강화할 계획이라고 에어부산 관계자는 전했다.
에어부산은 배터리 화재 발생 시 열폭주 및 폭발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비(Lithium battery fire containment pouch)도 구매해 항공기에 자체 구비할 예정이며, 승무원의 즉각적인 화재진압을 돕기 위해 방화 장갑을 기내에 추가 구비한다.
에어부산 정병섭 대표이사는 “기내 화재에 대한 손님들의 우려와 불안을 해소하고 안전한 여행 환경을 확보하기 위해 에어부산이 선제적으로 강화 정책을 수립하게 됐다”라고 했다.
손원태 한국금융신문 기자 tellme@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