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6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금통위 7인 체제 모습. / 사진제공= 한국은행(2025.01.16)
이미지 확대보기원/달러 환율이 1400원대 중후반으로 높은 상황에서 3연속 금리인하가 단행될 경우 원화가치 하방 압력이 강화되고 물가 상승 우려를 키울 수 있다는 점을 경계한 것으로 풀이된다.
금통위는 지난해 10월 3년 2개월 만에 통화 긴축에서 완화로 피봇(pivot, 통화정책 방향 전환)을 본격화했고, 11월까지 2연속 금리 인하를 단행한 바 있다.
이번 1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할 지, 인하할 지 팽팽하게 전망이 맞섰는데, 올해 첫 금통위는 결국 금리 동결로 '숨 고르기'를 했다.
경기하방 위험 측면에도 불구하고, 이번 금리 동결은 무엇보다도 환율이 핵심 고려 요인이 된 것으로 분석된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해 말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닫기

환율 불안은 수입 물가와 연결되기 때문에 금리 동결의 큰 배경이 됐다고 볼 수 있다. 한은은 인플레이션 우려를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은의 물가 안정목표는 2.0%다.
또 금리 동결로 결정된 데는 금리 인하 시 한국과 미국의 금리차 확대 경계 요인도 감안됐을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 연준(Fed)은 지난해 마지막 12월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3연속 인하한 4.25~4.50%로 조정했다. 특히, 올해 금리 인하 속도조절을 시사했다. 연준은 2025년 말 기준금리 전망치를 3.9%로 제시했고, 금리인하 예상 횟수는 4회에서 2회로 절반이나 축소됐다.
만약 금리차가 벌어지면 환율 상승(원화가치 하락) 우려를 더할 수 있기 때문에 동결에 힘이 실린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1월 금통위 금리 동결로 한국과 미국 간 금리 격차는 최대 1.5%p를 유지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6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의사봉을 두드리는 모습. / 사진제공= 한국은행(2025.01.16)
이미지 확대보기오는 20일(현지시각) 취임식으로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정부 출범을 앞두고 있고, 이달 28~29일 새해 첫 미국 연준 FOMC 정례회의도 대기 중이다.
국내적으로도 정책 공조 차원에서 이번에는 동결에 무게를 둔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이날 금통위의 금리 동결 결정은 전원일치보다는 소수의견이 제시됐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음 한은 금통위는 오는 2월 25일이다. 이때 그동안 계엄사태 및 탄핵정국 등을 반영해서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조정하면서 금리 결정도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창용닫기

정선은 한국금융신문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