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넷마블몬스터 김민균 PD, 넷마블 이다행 사업부장이 지스타 2024 현장에서 몬길:STAR DIVE 공동 인터뷰에 나섰다. / 사진=지스타공동취재기자단
이미지 확대보기김민균 넷마블 몬길:STAR DIVE 개발 PD는 14일 부산 지스타 2024 현장에서 공동 인터뷰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번 공동 인터뷰에는 이다행 넷마블 사업부장도 참석해 몬길:STAR DIVE의 방향성에 대해 설명했다.
몬길:STAR DIVE는 모바일 RPG 대중화를 이뤄낸 '몬스터길들이기'를 계승한 액션 RPG다. 원작 몬스터길들이기는 다양한 캐릭터와 고유의 세계관으로 10년간 약 1500만 명 이용자들에게 사랑받았던 게임이다.
언리얼엔진5로 개발 중인 몬길:STAR DIVE는 주인공 '베르나', '클라우드'와 특별한 동반자 '야옹이'의 여정을 그려낸다. 이용자들은 게임의 마스코트 캐릭터인 '야옹이'의 능력을 이용해 몬스터들을 수집, 성장시킬 수 있으며 캐릭터 성격에 맞게 3인 파티를 구성, 태그를 활용해 전략적 전투를 즐길 수 있다.
이다행 사업부장은 “야옹이는 넷마블몬스터 개발실에서 프로젝트 시작할때부터 고양이 캐릭터를 제대로 만들고싶다해 디자인 여러번 수정 끝에 신비하면서도 귀엽게 탄생됐다”며 “게임 속에서는 마스코트 캐릭터가 주인공을 따라다니면서 몬스터를 길들일 수 있는 특별한 능력을 가졌고, 앞으로 테이밍 시스템에 키 역할을 하는 캐릭터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원작 몬스터길들이기의 캐릭터들은 각자의 매력을 앞세워 게임의 성공을 끌어냈다. 넷마블은 몬길:STAR DIVE에서도 캐릭터들의 매력을 한층 업그레이드하는 등 중요한 성공요소로 설계했다.
김민균 PD는 “지스타 빌드에서는 현재까지 캐릭터들을 조금 더 게임에서 많이 보여주고자 영입 퀘스트로 임시로 풀어둔 상태”라며 “실제 론칭 버전은 여러 방식을 열어두고 고민하고 있다. 캐릭터는 론칭 기준 20종 정도 목표하고 있는데 개발 과정에서 변동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몬길:STAR DIVE는 원작과 다르게 3인 플레이 시스템을 적용했다. 각각의 캐릭터 수집은 물론 다양한 조합으로 색다른 전투 스타일을 즐길 수 있다.
김민균 PD는 “태그 시스템에서 캐릭터 연계 공격을 최대한 살려보려고 했다”며 “단순하게 팀 파티원을 교체하는게 아니라 공격하는 순간 전투에 참여해서 연계할 수가 있고 일정 시간동안 파티 플레이하는 느낌을 최대한 강조할 수 있도록 노력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팀원 간 버프시스템도 고려해 개발하고 있어서 팀 간 시너지도 매력 포인트라 생각한다. 또 보스를 그로기 상태로 만들고 버스트 모드를 발동해서 순간적인 화려한 액션 타격감, 손맛을 느낄 수 있도록 개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몬길:STAR DIVE는 넷마블의 대표 자체 IP의 글로벌과 콘텐츠 확장 시도의 대표격인 타이틀이다. 넷마블은 몬길:STAR DIVE의 글로벌 출시를 통해 IP 팬층을 높이고 웹툰 등 다양한 산업으로 확장시킬 구상이다.
이다행 사업부장은 “몬스터길들이기 원작이 국내에서 큰 사랑을 받았지만 글로벌 시장에서는 큰 도전이 필요한게 사실”이라며 “이번 시연 반응도 그렇고 우리 캐릭터가 타 서브컬처 캐릭터와 다른 결의 매력이 있다 생각하고, 한국은 물론 일본을 핵심 공략 시장으로 가져가고자 한다. 이번에 첫 선을 보였는데 경쟁력을 어떻게 갖춰나갈지에 대한 답을 찾아가고 있으니 많은 기대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이어 “미디어 확장 측면에서 다른 콘텐츠를 한다면 웹툰으로 각 캐릭터의 서사를 푼어가는 등 더욱 풍성하게 보이는 효과가 있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김민균 PD도 “저도 미디어 확장으로 웹툰을 생각하고 있다”며 “다만 개발 담당 입장에서는 현재 단계에서는 캐릭터를 인게임에서 잘 표현하는 것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끝으로 이다행 사업부장은 “자체 IP 몬스터길들이기가 재해석돼 새로운 모습을 보이는데 글로벌 유저들에게 많이 사랑받는 콘텐츠가 되길 바라는 바람을 갖고 있다”며 “지금 일부분을 보여드렸지만 내년까지 개발을 계속해나가며 피드백, 의견을 고려해 더욱 경쟁력 있고 많은 유저들이 사랑하는 게임을 만들어나갈테니 앞으로도 기대와 응원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김재훈 한국금융신문 기자 rlqm93@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