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TIMES 대한민국 최고 금융 경제지
ad

1분기 유통맞수 어땠나…쿠팡 영업익 ‘뚝’ vs 이마트 ‘실적개선’

박슬기

seulgi@

기사입력 : 2024-05-17 17:00

쿠팡, 영업익 날아갔지만 매출액은 분기 최대
쿠팡, 5개분기 연속으로 이마트 매출액 추월
이마트, 허리띠 졸라매고 수익성 강화

  • kakao share
  • facebook share
  • telegram share
  • twitter share
  • clipboard copy
올해 1분기 쿠팡의 영업이익이 60% 하락했지만, 매출액은 이마트를 또 추월했다. /사진제공=쿠팡, 이마트

올해 1분기 쿠팡의 영업이익이 60% 하락했지만, 매출액은 이마트를 또 추월했다. /사진제공=쿠팡, 이마트

[한국금융신문 박슬기 기자] 올 1분기 유통업계 분위기는 지난해에 이어 여전히 녹록치 않다. 고물가로 인한 소비침체 현상 등이 지속되고, 예상치 못한 C-커머스 등장에 경쟁이 과열되면서다. 유통업계 1, 2위를 다투는 쿠팡과 이마트 역시 쉽지 않았다. 다만 각자가 처해있는 상황이 다른 만큼 1분기 성적표도 달랐다. 지속적으로 허리띠를 졸라맨 이마트는 개선된 성적표를 받아들었고, C-커머스를 견제하기 위한 공격적인 마케팅과 투자 등을 단행한 쿠팡은 수익성이 크게 악화됐다.

쿠팡의 1분기 영업이익은 531억원(4000만달러)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1362억원(1억677만달러) 61% 감소했다. 쿠팡의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한 것은 2022년 3분기 첫 분기 영업흑자 전환 이후 처음이다.

이마트는 연결기준 1분기 영업이익은 471억원으로 전년 같은기간보다 245% 증가했다. 수익성 개선작업과 함께 가격 경쟁력을 강화하며 방문 고객수를 늘린 게 실적 개선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다만 매출 면에서는 쿠팡이 여전히 앞선다. 쿠팡의 1분기 매출은 전년보다 28% 늘어난 9조4505억원(71억1400만달러)을 기록했다. 이마트는 매출액은 7조2067억원으로 1% 소폭 증가했다.

쿠팡은 지난해 1분기부터 5개분기 연속으로 이마트 매출을 추월했다. 양사의 매출 차이는 2억 2438억원이다. 쿠팡은 이번 1분기 사상 최대 분기 매출을 내며 유통업계 경쟁구도 ‘쿠이마롯’(쿠팡·이마트·롯데쇼핑)를 굳히는 모습이다.

◆쿠팡, 진격의 'C-커머스'에 깜짝
전통 유통강자 이마트도 제친 쿠팡이었지만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 등 C-커머스 공세에는 당해내지 못하는 모양새다. 거대한 자본을 토대로 ‘초저가 전략’을 앞세운 C-커머스가 빠른 배송보다 저렴한 가격 경쟁력이 더 크다는 것을 보여주면서다.

C-커머스의 존재감은 급격히 커졌다. 유해물질, 배송·환불 서비스 등 각종 논란이 이어졌지만 그럼에도 저렴하다는 이유로 C-커머스를 이용하는 회원 수는 대폭 확대됐다.

특히 알리와 테무를 이용하는 국내 이용자 수는 올해 1분기 단숨에 확대됐다. 지난 3월 C-커머스 국내 이용자 수는 40% 넘게 급증했다. 알리 월간활성이용자수(MAU)는 887만1000명, 테무는 829만6000명이다. 같은기간 3086만명으로 1위를 차지한 쿠팡과 큰 차이를 보인다. 하지만 다른 국내 이커머스를 제치고 2위와 3위가 각각 알리, 테무라는 점을 고려하면 꽤 위협적인 존재로 인식된다.

특히 알리익스프레스를 운영하는 중국의 알리바바그룹이 한국 시장 공략을 위해 향후 3년간 11억 달러(약 1조 4471억원) 투자계획과 연내 물류센터 구축 계획까지 세우면서 쿠팡의 마음은 더 급해졌다.

이에 쿠팡도 올해부터 2026년까지 3년간 3조원 이상을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알리보다 2배 가량 더 큰 규모의 투자비용이다. 뿐만 아니라 충성회원을 확보하기 위한 배달서비스 ‘쿠팡이츠’, OTT서비스 ‘쿠팡플레이’에 대한 투자도 지속하고 있다.

올 1분기 실적은 지난해 말 인수한 명품 플랫폼 ‘파페치’ 인수 영향도 컸지만, C-커머스에 대응하기 위한 쿠팡의 ‘쩐의 전쟁’으로 수익성 악화를 막을 순 없었다.

비용 투자로 출혈이 클 수 밖에 없던 쿠팡입장에선 와우멤버십 월회비 인상이 불가피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쿠팡은 지난 4월 ‘와우멤버십’ 비용을 4990원에서 7890원으로 인상했다. 약 60% 가량 인상률이다.

쿠팡은 지난해 무료 로켓배송을 포함한 각종 무료 서비스와 상품 할인, 쿠팡플레이 무료시청 등을 통해 약 4조원(30억달러) 가량의 비용절약 혜택을 제공했다며 앞으로도 매년 그 이상의 절약혜택이 와우회원들에게 돌아갈 전망이라고 밝혔다.

김범석닫기김범석기사 모아보기 쿠팡 의장은 1분기 컨퍼런스 콜에서 “2024년에는 멤버십 혜택을 더욱 확대해 고객에게 40억 달러(5조5000억원) 이상의 와우 관련 혜택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마트, 바닥 찍고 상승곡선
이마트는 오프라인을 기반으로 하는 만큼 이커머스 기업인 쿠팡과 상황이 다르긴 하다. 다만 지난해 사상 첫 적자를 기록하며 한차례 바닥을 찍었던 터라 올해 첫 성적표는 모두의 관심의 대상이었다. 다행스럽게도 희망퇴직, 수익성 개선작업 등이 일부 반영되면서 수익성 개선효과가 컸다.

이마트 올해 1분기 전략은 오프라인에서 가격 경쟁력을 가져가는 것이었다. 고객이 꼭 필요한 상품을 상시 최저가 수준으로 제공하는 ‘가격파격 선언’을 하면서 분위기 반전을 꾀했다.

직소싱과 대량 매입, 제조업체와 협업 등 이마트가 다년간 쌓아온 유통 노하우를 총동원해 50여 개 상품을 최저가 수준으로 선보인 ‘가격 역주행’ 프로젝트는 고객의 높은 호응을 이끌어냈다. 특히 이 가운데 30개 안팎의 주요 상품을 이마트에브리데이와 공동으로 판매하며 통합 시너지와 고객 혜택 극대화에 주력했다.

그 결과 이마트 방문 고객수는 전년 동기 대비 83만 명(2.7%) 늘어났다.

SCK컴퍼니, 신세계프라퍼티, 조선호텔앤드리조트 등 연결 자회사들도 어려운 환경 속에서 수익성을 개선했다. 다만 이커머스 사업을 전개하는 SSG닷컴과 G마켓, 편의점 이마트24, 신세계건설 등이 아쉽다. SSG닷컴과 G마켓은 여전히 적자를 내고 있고, 이마트24와 신세계건설의 적자폭은 확대됐다.

업계에서는 6월 말 이마트에브리데이와 통합을 통한 수익성 개선 효과가 더 커질 것으로 전망하는 모습이다.

증권가에서는 이마트의 이번 실적개선을 보수적으로 바라보고 있다. 오프라인 매장으로 고객이 다수 유입됐지만 고객 증가 대비 매출 개선 폭은 예상보다 낮았기 때문이다.

박슬기 한국금융신문 기자 seulgi@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FNTIMES -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오늘의 뉴스

ad
ad
ad
ad

한국금융 포럼 사이버관

더보기

FT카드뉴스

더보기
[카드뉴스] 국립생태원과 함께 환경보호 활동 강화하는 KT&G
[카드뉴스] 신생아 특례 대출 조건, 한도, 금리, 신청방법 등 총정리...연 1%대, 최대 5억
[카드뉴스] 어닝시즌은 ‘실적발표기간’으로
[카드뉴스] 팝업 스토어? '반짝매장'으로
[카드뉴스] 버티포트? '수직 이착륙장', UAM '도심항공교통'으로 [1]

FT도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