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TIMES 대한민국 최고 금융 경제지
ad

SK하이닉스 지난해 직원 생산성에서도 삼성과 격차 벌려

홍윤기 기자

@

기사입력 : 2024-05-13 06:00 최종수정 : 2024-05-13 19:43

지난해 1인당 매출액 SK하이닉스 10.2억...삼성은 8.9억 그쳐

  • kakao share
  • facebook share
  • telegram share
  • twitter share
  • clipboard copy
삼성전자, SK하이닉스의 직원 1인당 매출액./그래프 홍윤기 기자

삼성전자, SK하이닉스의 직원 1인당 매출액./그래프 홍윤기 기자

이미지 확대보기
[한국금융신문 홍윤기 기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HBM 등 메모리 반도체 전쟁이 올해 더 치열해질 전망이다. SK하이닉스가 5분기 연속 영업익 면에서 앞서면서 32년 반도체 왕좌가 흔들리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1인당 매출액 면에서도 최근 SK하이닉스가 삼성전자와의 폭을 벌린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삼성전자 DS(반도체) 부문의 지난해 매출액은 66조5945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DS부문 직원 수(기간제 포함)는 7만4219명이었다. 직원 1인당 매출액은 8억7270만원 수준이다.

한편 지난해 SK하이닉스의 매출액은 32조7657억원을 기록했다. 직원 수는 3만2065명이었다. 1인당 매출액은 10억2185만원이다.

SK하이닉스 직원 한 명이 삼성전자보다 연간 1억4915만원을 더 벌어들인 셈이다. 1인당 매출액에서 SK하이닉스가 삼성전자를 앞지른 것은 지난 2022년부터 였다.

2021년 삼성전자 DS부문은 매출액 94조1586억원, 직원수 6만3902명으로 1인당 매출액은 14억7348만원을 기록했다. 2021년 당시 DS부문에 속해 있던 DP(디스플레이) 사업부의 매출액을 결과다. DP부문 까지 합산하게 되면 1인당 매출액이 19억5752억원까지 올라간다.

반면 2021년 SK하이닉스는 매출액 42조9977억원에 직원 수 3만135명으로 1인당 매출액 14억2683만원을 기록했다. DP사업부 매출을 제외한 삼성전자 DS부문 1인당 매출액 보다도 낮았다.

양사의 생산성은 2022년 역전됐다. 삼성전자 DS(매출 98조4553억원, 직원 7만1006명) 1인당 매출액은 13억8657만원을 기록한 반면, SK하이닉스(매출 44조6215억원, 직원 3만1944명)으로 13억9686만원을 기록해 근소한 차이로 앞지르기 시작했다.

삼성전자의 또다른 문제는 영업익에서 5개 분기 SK하이닉스에 뒤졌다는 점이다. 지난해 IT 수요 감소로 양사 모두 적자를 기록했다. 그러나 분기 별로 나눠 보면 HBM(고대역폭 메모리) 주도권을 잡은 SK하이닉스의 흑자전환도 더빨랐고 올해 1분기 영업익에서도 삼성전자를 앞섰다.

올해 1분기 삼성전자 DS 영업익은 1조9100억원, SK하이닉스는영업익 2조8900억원을 기록했다.

삼성전자의 지난해 적자 규모는 1분기 4조5800억원, 2분기 4조3600억원, 3분기 3조7500억원, 4분기 2조1800억원 등이었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1분기 3조4000억원, 2조8800억원, 3분기 1조7900억원의 적자를 기록하다가, 4분기 3500억원으로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적자폭도 삼성전자보다 적었고, 흑자전환도 한 분기 더 빨랐다.

그러나 올해 삼성전자의 반격이 만만치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SK하이닉스에 HBM 주도권을 내줬지만 삼성전자 역시 빠른 속도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김광진 한화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HBM, eSSD(기업용 SSD) 등 의 삼성전자의 경쟁력은 점진적으로 강화될 전망”이라면서 “지난해 HBM 시장에서 SK하이닉스 대비 열위에 있으면서 고전 했으나 HBM3E(5세대 HBM) 시장에서 격차를 빠르게 축소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HBM3E 8단 제품의 격차는 약 3개월 수준으로 좁혀진 것으로 파악되고, 12단 제품에서는 우위에 설 가능성도 있다”고 했다.

홍윤기 한국금융신문 기자 ahyk815@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FNTIMES -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오늘의 뉴스

ad
ad
ad
ad

한국금융 포럼 사이버관

더보기

FT카드뉴스

더보기
[카드뉴스] 국립생태원과 함께 환경보호 활동 강화하는 KT&G
[카드뉴스] 신생아 특례 대출 조건, 한도, 금리, 신청방법 등 총정리...연 1%대, 최대 5억
[카드뉴스] 어닝시즌은 ‘실적발표기간’으로
[카드뉴스] 팝업 스토어? '반짝매장'으로
[카드뉴스] 버티포트? '수직 이착륙장', UAM '도심항공교통'으로 [1]

FT도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