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회의사당 / 사진출처= 국회
연금개혁의 공은 22대 국회로 넘어가게 됐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주호영 위원장은 7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사실상 21대 활동을 종료하게 되는 상황이 됐다"고 발표했다.
국민연금의 현행 보험료율은 9%, 소득대체율은 42%다.
보험료율을 9%에서 13%로 올리는 데는 의견 접근이 이뤄졌다. 그러나, 국민의힘은 연금 재정 안정 차원에서 소득대체율을 43%까지 올릴 수 있다고 했고,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노후 소득보장 차원에서 소득대체율이 45%는 돼야 한다고 맞서면서 이견을 좁히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주호영 위원장은 "최종적으로 소득대체율 2%p 차이 때문에 입법이 어렵게 됐다"며 "논의를 토대로 22대 국회 때 여야 간 의견을 접근해서 조속한 연금개혁이 이뤄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연금특위는 예정했던 유럽 출장도 취소했다.
앞서 지난 4월 국회 연금특위 공론화위원회는 시민대표단 설문조사 결과 56.0%가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50%'(소득보장 강화론)을 지지했다고 밝혔다. 42.6%는 '보험료율 12%·소득대체율 40%'(재정안정론)에 무게를 두었다. '더 내고, 더 받는 안'에 대한 의견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연금개혁은 윤석열닫기

5월 말까지 현 국회 회기가 남았지만 연금특위는 사실상 '빈손'으로 활동을 마무리하게 됐다. 22대 국회는 오는 5월 30일 개원한다.
정선은 한국금융신문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