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원태 기자
하지만 K콘텐츠를 제작하는 현장 분위기는 사뭇 다르다. 영화진흥위원회(이하 영진위) 예산이 대폭 삭감된 것이다. 미래 영화인들을 발굴하는 독립예술영화 지원사업은 반 토막이 났고, 영화제 지원사업도 절반 이상 사라졌다.
영진위는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공공기관으로, 한국영화 및 영화산업의 진흥을 위해 설립됐다. 그러나 정부의 잇따른 예산 감축에 영진위가 힘을 잃으면서 제구실을 못하고 있다.
올해 영진위 예산은 589억원. 작년(850억원)보다 260억원 가량 삭감됐다. 그 여파가 크다. 독립예술영화 지원사업은 지난해 114억원에서 올해 67억원으로, 영화제 지원사업은 52억원에서 24억원으로 각각 급감했다. 세부적으로 들여다보면 피해는 더욱 크다.
독립예술영화 지원작 수는 작년보다 절반 이상 줄어든 49편 내외다. 이마저도 지원자가 자기부담금 10%를 편성해야 한다. 장편 영화나 다큐멘터리 부문을 지원하려면 개인이 아닌 제작사가 해야 한다.
이러한 현실은 청년 영화인들 창작활동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 봉준호·박찬욱 감독 등으로 대표하는 한국 영화는 세계 곳곳에서 인정받고 있는데, 이를 인큐베이팅하는 시스템이 거꾸로 붕괴하고 있는 셈이다. 카메라나 조명 등 장비 대여, 장소 대관, 스태프 식비, 배우 출연료 등만 해도 최소 수백만원이다. 작품에 전념해야 하는 청년 영화인들이 이를 감당할 여력은 없다.
영화제 지원사업도 상황은 비슷하다. 올해부터 국내영화제 지원사업과 국제영화제 지원사업을 나눠 운영했던 것이 통합됐다. 이에 정부 지원금이 들어가는 영화제는 기존 40여 개에서 올해 10개로 대폭 축소됐다. 당장 아시아 최대 영화제인 부산국제영화제조차 작년에 이어 올해에도 예산 칼날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실제 부산국제영화제는 지난해 예산이 109억원으로, 평년 120억원에서 이미 10%가량 줄었다. 초청작도 전년 71개국 242편에서 69개국 209편으로 줄어들었다. 우리나라 제2 영화제인 전주국제영화제도 영진위 지원 예산 절반 이상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대책 마련에 분주하다.
여기에 2018년부터 이어진 지역 영화 지원사업은 전액 삭감돼 존폐조차 장담할 수 없게 됐다. 이외에도 시나리오 공모전 운영비는 60%나 감액됐으며, 한국 영화 차기작 기획개발지원 예산은 아예 실종됐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는 영화발전기금 원천인 영화관 입장권 부담금 폐지도 검토하고 있다. 영화발전기금은 영화관람료에서 3%씩 징수해 각 지역 영화 기획과 제작, 개봉을 지원한다. 영진위 독립예술영화 지원사업과 영화제 지원사업 등 예산 상당수도 여기서 나온다.
우리나라 영화산업은 코로나 기간을 지나면서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난립과 함께 절체절명의 위기를 맞고 있다. 코로나 이전이었던 2019년 극장을 찾은 총 관객은 2억2668만명이었으나, 지난해 1억2641만명으로 절반 수준에 그친다.
스크린에 걸 작품들도 대거 OTT로 향하면서 영화관은 상영작마저 찾기 힘든 상황이다. 철 지난 영화가 계속 재개봉하는 이유다. 대형 멀티플렉스는 적자를 견디지 못해 영화관을 클라이밍, 농구장, 전시장 등 생뚱맞은 공간으로 개조하고 있다.
윤 대통령은 최근까지도 테드 서랜도스 넷플릭스 공동 최고경영자(CEO)를 만나면서 K콘텐츠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를 당부했다.
하지만 K콘텐츠 인큐베이터 역할을 하는 내부 구조가 망가지고 있는 현실을 먼저 직시해야 한다. K콘텐츠 경쟁력은 다양성에서 기인한다. 돈이 되지 않는다고 무작정 예산을 삭감하면 한국 영화의 미래는 없다. 특히 코로나를 지나면서 영화산업이 탄력을 받아야 하는 지금 정부의 세심한 결단이 무엇보다도 필요한 시점이다.
손원태 한국금융신문 기자 tellme@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