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거래소(이사장 정은보닫기

삼성자산운용의 ETF AUM은 51조9578억원으로 전년 말(48조7337억원)대비 6.6% 늘어 40%의 점유율을 차지했다. 특히, 순자산은 지난 한 달 동안에만 1조9000억원이 늘었으며 업계 최초로 50조원도 돌파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의 경우 전년 말(44조6561억원) 대비 7.66% 증가한 48조766억원으로 집계됐으며 시장 점유율은 37.2%를 차지했다.
국내 ETF 시장의 성장세는 올해도 계속 될 전망이다. 이에 따른 이들 간 상품 경쟁도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박승진 하나증권 연구원은 “지난 한 해 국내 ETF 시장은 꾸준한 자금 유입으로 외형적 성장을 이뤄왔다. 이런 가운데 시장의 질도 향상됐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올해도 새로운 공급사들의 시장 진입은 계속 되고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이다. 이에 따른 ETF 시장이 성장하는 속도는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덧붙였다.
특히, 지난해부터 중소형 운용사들의 약진도 두드러졌다. 이들이 선두주자들의 뒤를 바짝 추격하고 있어 경쟁력 강화도 요구되는 시점이다.
실제, 지난 2022년 말 기준 삼성자산운용과 미래에셋자산운용의 점유율은 각각 42%, 37.66% 수준이었지만, 지난 한 해 동안 소폭으로 하락했다. 같은 기간 신한자산운용은 1%에도 미치지 못했던 점유율을 2.19%까지 끌어올렸고 한국투자신탁운용과 한화자산운용도 각각 1%, 0.6%씩 점유율을 늘렸다.
삼성자산운용과 미래에셋자산운용 역시 연초부터 ETF 상품들을 1달에 1개꼴로 출시하며 선두권 유지를 위한 고삐를 바짝 당기고 있다.
삼성자산운용은 지난 1월 ‘한국판 TSLY’로 불리는 월배당 ETF ‘KODEX 테슬라인컴프리미엄채권혼합 액티브’를 출시한 데 이어 이달 14일 국내 최초 글로벌 비만치료제 기업으로 구성된 ‘KODEX 글로벌 비만치료제 TOP2 Plus’를 상장해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김도형 삼성자산운용 ETF컨설팅본부장은 “올해는 주요국의 선거와 미 중앙은행(Fed)의 금리 인하 시기, 중국 경기침체 우려 등 증시 변동성을 확대할 수 있는 변수가 여전히 존재한다”며 “ETF 투자자들이 KODEX의 국내외 지수형, 섹터형, 테마형, 채권형, 파킹형 ETF 등을 활용해 시장 상황에 유연하게 대응토록 다양한 상품을 선보이겠다”고 말했다.
미래에셋자산운용도 올해 2개의 상품을 선보였다. 지난달 16일 미국 나스닥100 지수 내 상위 10개 기업에 투자하면서 커버드콜 전략을 활용해 연간 10%대의 배당 수익을 목표로 하는 ‘TIGER 미국테크TOP10+10%프리미엄’을 출시했다.
이달 6일에는 국내 최초로 양도성예금증서(CD) 1년물 금리에 투자하는 금리형 ETF인 ‘TIGER 1년은행양도성예금증서액티브(합성)’를 신규로 상장시켰다.
미래에셋자산운용 관계자는 “‘TIGER ETF’는 지난해 개인 누적 순매수 규모 1위를 차지했으며 총 운용자산이 300조원을 돌파하는 등 글로벌 운용사로서의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이를 기반으로 올해는 글로벌 혁신성장 테마를 발굴하고 나아가 연금 투자자 등을 위한 다양한 상품들도 선보여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전한신 한국금융신문 기자 pocha@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