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은행의 주가연계증권(ELS) 상품 판매를 금지하는 등 제도개선을 검토한다. 홍콩H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ELS에서 대규모 원금손실이 발생하고 은행의 고위험 상품 판매에 대한 비판이 나오면서다. 금융당국은 다음달 은행·증권사에 대한 검사를 마친 뒤 대책 마련에 나선다.
김주현닫기


김 위원장은 “ELS뿐 아니라 금융투자상품은 다 위험성이 있다”며 “종합적으로 여러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고 검토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복현닫기

그는 “금융소비자보호법이 2019년 시행된 이후 3년여가 지난 시점에서 금융투자 상품을 어떻게 분류하고, 어떤 창구를 통해서 판매하며 그 과정에서 소비자에게 어떻게 설명해야 할지 등을 이번 기회에 점검할 필요가 있다”며 “빨리 논의를 시작하겠다”고 덧붙였다.
김 위원장은 “홍콩 ELS 피해자 배상을 제대로 해야 한다”는 지적에 대해선 “금감원 검사가 진행 중인데 (그런) 포인트에 대해 얘기를 많이 하고 있다”며 “충분히 감안해 판단하겠다”고 했다.
이 원장은 “현재 여러 자원을 투입해 검사를 진행 중”이라며 “2월 중 검사를 끝내려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지난해 11~12월 홍콩H지수 ELS 주요 판매사인 KB국민·신한·하나·NH농협·SC제일은행 등 5개 은행과 한국투자·미래에셋·삼성·KB·NH·키움·신한 등 7개 증권사에 대해 판매 실태를 확인하는 현장 및 서면조사를 실시했다.
이달 8일부터는 업권별 최대 판매사인 국민은행과 한국투자증권을 시작으로 12개 판매사에 대한 현장검사를 진행 중이다. 검사 결과는 다음달 나올 예정이다.
KB국민·신한·하나·NH농협은행에서 판매한 홍콩H지수 ELS 만기 손실액은 지난 26일까지 3121억원으로 집계됐다. 확정 만기 손실률은 53% 수준으로 원금이 반토막난 상태다.
한아란 한국금융신문 기자 ara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