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법 상 주총 개최 6주 전 까지 주주제안 제출이 이뤄져야 하는 만큼 점점 움직임이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소유분산 기업 등의 최대주주로써 국민연금(이사장 김태현닫기

1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VIP자산운용(김민국, 최준철)은 올해 1월 9일 지분 5.38%를 보유하고 있는 삼양패키징의 보유 목적을 '단순투자'에서 '일반투자'로 변경했다.
VIP운용은 오는 3월 삼양패키징 주총을 앞두고 자사주 매입·소각을 포함한 적극적인 주주환원정책을 요구하기로 했다. 삼양패키징 주가가 저평가 된 것은 현행 현금배당 위주의 주주환원정책이 시장에서 제대로 된 기업가치를 받는 데 별 도움을 주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얼라인파트너스자산운용(대표 이창환)은 최근 1월 11일 국내 상장 은행지주 7곳(KB, 신한, 하나, 우리, JB, BNK, DGB) 대상으로 작년 발표한 자본배치 및 주주환원정책 준수를 요구하는 내용의 주주서한을 발송했다. 얼라인은 국내 은행주가 빠른 대출 증가로 주주환원율이 해외 은행보다 낮은 평균 20%대에 그쳐 만성적인 저평가에 그친다고 지적했다. 얼라인은 이번에는 다양한 방면의 전문가들이 이사회에 필요하다는 주장도 포함했다.
KCGI자산운용(대표 김병철닫기

현대그룹 현정은닫기


금융권 안팎에서는 KT, 포스코, KT&G까지 민영화 된 '소유분산 기업'들 CEO 연임 무산에 관심이 쏠려 있다.
앞서 국민연금은 포스코홀딩스의 지분 6.71%를 보유한 최대주주로써, 차기 CEO 인선 관련 공개적으로 CEO후보추천위원회(후추위) 구성의 공정성 등에 대해 문제제기를 한 바 있다. 최정우닫기

그러나 이번에는 '해외 이사회' 관련 논란이 빚어지면서 사법리스크가 돌출돼 복잡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현재 포스코 후추위는 내부, 외부를 합쳐 22명의 차기 회장 후보군을 선정한 상태로, 이 중 후보군 압축에 들어간다.
오너(owner) 중심 경영, 밸류에이션 저평가, 낮은 주주환원율 등은 한국 증시가 여전히 풀어야 할 숙제로 지적되고 있다.
상장기업 PBR(주가순자산비율) 1 미만, 즉 장부가에 못 미치는 저평가 종목이 수두룩한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증시 저평가) 상황을 돌파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고, 행동주의가 주목되고 있다.
물론 행동주의가 정상적 기업경영을 방해하는 명분이 되어서는 곤란한다. 또 자칫 적대적 M&A(인수합병)으로 흐르는 것은 막을 필요가 있다.
정부도 지배주주와 일반주주 사이 이해상충 문제 해소 등에 관심을 두고 있다.
윤 대통령은 앞서 2024년 여의도 거래소 증시 개장식에 직접 참석해서 "소액주주의 이익 제고를 위한 상법 개정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는 내용을 언급했다.
현재 국회에는 주주의 비례적 이익을 핵심으로 한 상법 개정안(이용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안) 등이 올라와 있다.
정선은 한국금융신문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