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영채 NH투자증권 대표이사 사장. /사진제공 = NH투자증권

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정 사장은 김경록 미래에셋자산운용 고문이 페이스북을 통해 지적한 “공모펀드를 상장시킨다고 활성화되지 않는다”에 공감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정 사장은 “유동성 부여를 목적으로 상장하면 폐쇄형의 경우 다소 도움이 될 수 있다”면서도 “지주회사와 같이 디스카운트(할인) 된다면 (어떻게 될 것인가)”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간 공모펀드는 문제가 발생할 때마다 규제로 덧칠해 굉장히 안정적으로 보이지만, 효율성과 시장성은 거의 없어 보인다”며 “미국은 과거보단 못하지만, 공모펀드가 여전히 퇴직연금의 주요 투자 방법”이라고 했다.
이날 김 고문은 “공모펀드는 매매를 자주 못 하는 게 단점이 아니다”고 지적했다.
그는 “공모펀드를 퇴직연금 등에서 운용할 때 ‘저 배를 타면 폭풍이 와도 괜찮을 것 같은 느낌’과 같이 장기적으로 안정감을 주도록 운용해야 한다”며 “그러려면 좋은 프로세스, 좋은 사람, 글로벌 우량 자산, 헌신과 노력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어느 때부터 공모펀드는 이런 부분이 사라졌다”며 “이걸 살리지 않고 상장해서 매매가 잘되게 하는 걸로 돌파구를 찾는다면 ‘개의 꼬리로 몸통을 흔든다’고 생각하는 거나 다를 바 없다”고 꼬집었다.
앞서 금융위원회(위원장 김주현닫기

금융위는 올해 상반기 규제 샌드박스 심의를 거쳐 하반기부터는 상장 거래가 이뤄지도록 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효과성 등이 검증되면 ETF 운용 자율성을 강화하고 상품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장 공모펀드 법제화를 추진한다.
전한신 기자 pocha@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