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T&G 인도네시아 현지 공장. /사진=KT&G

KT&G는 23일 기준 해외 법인이 터키, 대만, 카자흐스탄, 인도네시아 등 5곳이다. 해외 현지 공장도 터키, 카자흐스탄, 인도네시아 등 4곳이다. 모두 유라시아권에 집중돼 있다. KT&G는 앞서 지난 1월 ‘미래 비전 선포식’을 열고, 전자담배(Next Generation Products·전통궐련 외 차세대담배를 부르는 총칭)와 건강기능식품, 해외 궐련 확대를 3대 핵심사업으로 밝힌 바 있다. 2027년까지 전체 매출 10조 이상을 달성하고, 글로벌 매출 비중을 절반 이상으로 확대하겠다는 구상이다.
KT&G의 지난해 매출은 5조8565억원으로, 전년(5조2284억원)보다 12% 오르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영업이익은 1조2687억원으로, 전년(1조3384억원) 대비 5.3% 소폭 줄었다. 국내 궐련 시장이 감소세를 보이는 데다 전자담배로 빠르게 전환되면서다. 실제로 올 1·2분기부터는 국내 궐련 총수요와 KT&G 매출이 역성장을 그리기 시작했다. 2분기 기준 국내 궐련 총수요는 159억 개비로, 전년(163억7000만 개비) 대비 2.9% 감소했다. 이에 KT&G의 2분기 국내 궐련 매출도 전년(4353억원)보다 2.0% 줄어든 4266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KT&G 전체 실적도 발목 잡으면서 어닝쇼크를 냈다. KT&G 2분기 매출은 1조3360억원으로, 전년(1조4175억원)보다 5.7% 떨어졌다. 영업이익도 2429억원으로, 무려 25.9%나 급전직하했다.
KT&G가 계속해서 유라시아권으로 사업 확장에 나서는 이유다. 유라시아는 러시아와 아시아, 유럽을 통틀어 세계 육지 면적과 인구의 절반을 차지한다. KT&G는 지난달 인도네시아를 글로벌 수출 전초기지로 삼고, 신공장 건설에 착수했다. 2026년 가동을 목표로, 인도네시아 동자바 주에 생산공장을 증설한다. 이를 통해 KT&G는 인도네시아를 해외수출용 제품의 생산 거점으로 삼는다. 인도네시아는 인구 2억7000만명 규모로, 세계 2위 담배 소비국이다. KT&G는 이달에도 카자흐스탄 알마티 주에 20만㎡(약 6만 평) 규모의 생산공장 착공식을 개최했다. 카자흐스탄 현지 공장에서 유라시아로 향하는 궐련과 전자담배 등을 생산한다. 현지 완결형 밸류체인을 구축하고, 생산부터 마케팅, 영업 등을 직접 관리해 수익성 제고에 주력한다. 이를 토대로 KT&G는 2027년까지 글로벌 매출 비중을 50% 이상 확대, 전체 매출 10조를 달성한다.
KT&G의 글로벌 매출이 매해 성장세를 보이는 점은 긍정적으로 읽힌다. 지난해 KT&G 글로벌 궐련 매출은 1조98억원으로, 전년(6858억원)보다 47.2% 대폭 성장했다. 올해 상반기 매출도 5306억원으로, 전년(4954억원) 대비 7.1%나 상승했다. 글로벌 전자담배 시장 점유율도 높아지는 추세다. 올 2분기 KT&G 전자담배 글로벌 스틱 판매량은 22억1000만 개비로, 전년(12억8000만 개비)보다 72.7%나 증가했다.
결과적으로 KT&G는 국내 궐련 시장이 위축됨에 따라 이를 해외에서 만회하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 특히 2021년 미국 사업을 잠정 중단했음에도 해외 실적이 오히려 반등했다는 점은 고무적이다. 자신감을 가진 KT&G는 유라시아를 목표물로, 경쟁사인 필립모리스인터내셔널(PMI)과 사업 제휴를 맺었다. 앞서 KT&G는 지난 2020년 PMI와 업무협약(MOU)를 체결하고, 자사 전자담배인 ‘릴(lil)’을 전 세계 31개국에 진출시켰다. 올해 1월에는 최소 보증 수량 등 계약 조항을 신설해 향후 15년간 장기계약도 체결했다.

KT&G 백복인 사장. /사진=KT&G
손원태 기자 tellme@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