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이버 검색이 지난 5월부터 일부 사용자 대상 순차적으로 테스트한 새 버전의 UX(사용자 경험), UI(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전 사용자 대상으로 확대 적용했다. / 사진제공=네이버
이미지 확대보기
이번 개편은 사용자 맞춤형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스마트블록 중심의 에어서치를 바탕으로 더 똑똑해진 검색 경험을 제공하는 걸 목표로 한다. 연내 통합검색에 일부 적용될 생성형 AI 검색 서비스 ‘큐:’의 사용성까지 고려했다.
네이버는 탐색형 검색 경험을 더욱 강화할 수 있는 검색 흐름을 선보이고 이미지나 동영상 등 멀티미디어 콘텐츠별로 특화된 템플릿을 제공한다.
우선 ‘정답→탐색→발견’으로 이어지는 검색 결과를 구조화하고, 스마트블록에서 생성형 AI 검색 결과까지 유연하게 연결되는 흐름을 구현할 수 있는 디자인 시스템을 도입했다. 각 영역에서 전달하는 콘텐츠 특성에 따라 텍스트와 이미지의 크기나 스타일 등 시각 요소뿐만 아니라 표시할 정보량과 순서 등 데이터 구성까지 최적화했다.
패션·맛집 등 시각적인 정보 제공이 중요한 주제의 결과는 이미지를 강조한 구조로 개선했다. 경제·비즈니스 분야의 정보 탐색 시에는 텍스트를 우선으로 보여주는 미리보기를 적용해 핵심 내용을 먼저 파악하고 문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바꿨다.
향후 네이버는 정보 유형에 탐색 몰입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UX와 인터랙션을 선보일 예정이다. 또 연내 ‘큐:’ 서비스를 통해 검색 의도에 따른 맞춤형 답변을 요약·정리한 형태로 제공하고, 쇼핑과 플레이스 등 네이버의 여러 서비스와 연계해 풍부한 탐색 경험을 제공한다는 목표다.
김재엽 네이버 서치CIC 책임리더는 “생성형 AI 검색으로 진화하며 기존 검색과 다른 사용성을 제공하려면 기술적 요소 외에도 이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최적화된 검색 환경이 함께 뒷받침되어야 한다”며 “네이버 검색은 최신 기술은 물론, 양질의 콘텐츠와 고도화된 UX가 모두 결합된 경쟁력 있는 서비스로 차별화된 사용성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주은 기자 nbjesus@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