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9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 사진제공= 한국은행(2023.10.19)
6회 연속 동결이다.
관망에 초점을 맞춘 '매파적(통화긴축 선호)' 동결로 풀이된다.
대외적 전쟁 등이 유가에 불안 요인으로 인플레이션(물가상승) 압력이 존재하고 있는 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국내적으로는 가계부채 뇌관도 주요 결정 요인이 된 것으로 점쳐진다.
중국 등 성장 둔화로 경제 버팀목인 수출이 위협되고 있는 점 등에서도 경기 불안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은(총재 이창용닫기이창용기사 모아보기) 금통위는 19일 오전 2023년 10월 통화정책방향 결정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행 연 3.50%로 동결했다.
한은은 0.5%까지 낮췄던 기준금리를 지난 2021년 8월을 기점으로 전환해 1년 반 가량 총 3.00%p 올린 뒤, 올해 2023년 2월 정지하고 동결을 유지해오고 있다.
이번 기준금리 동결은 대체로 예상부합이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2023년 10월 5~11일 채권 보유·운용 관련 종사자 대상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 100명 중 90%(92명)가 10월 금통위 기준금리 동결을 예상했다.
3%대지만 오름폭을 키운 물가지표 확인에 따라 긴축 기조 유지 측면이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3년 9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2.99(2020=100)로 전년동월대비 3.7% 상승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6월(2.7%), 7월(2.3%)로 2%대를 기록했다가, 8월(3.4%)에 3%대로 다시 올라섰고, 9월에 상승폭을 키웠는데 고유가 여파가 반영됐다.
돌발한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간 전쟁은 국제유가 불안 요인으로 풀이된다.
전쟁이 채권시장에서 안전자산 선호로 여겨져 금리 하락을 이끌 수 있으나, 전반적으로 인플레이션 우려는 통화긴축 기조 유지 동력이 될 수 있다.
미국 연준(Fed)이 추가적인 통화긴축은 어렵지 않겠느냐는 전망도 한은에게 일단 운신의 폭 확보가 될 수 있다. 미국채 금리 급등으로 고금리 장기화 기조 가능성에 무게가 실렸다가 이-팔 전쟁 발발이라는 대형 변수가 나오면서 상황이 급변했기 때문이다.
경기 불안 요인이 있다. 한은에 따르면, 경상수지는 2023년 8월 기준 넉 달 연속 흑자를 기록했지만, 상품 수출보다 상품 수입 감소폭이 더 큰 불황형 흑자 성격이다. 특히 올해 들어 8월까지 누적 경상수지 흑자는 전년 동기 대비 절반 이하 수준에 그치고 있어서 비우호적이라고 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가계부채가 통화정책 운영에서 핵심 요소가 됐을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9월 중 시행된 특례보금자리론과 5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 중단 등의 효과를 살펴봐야 하기 때문에 이번에 금리 조정보다 유지에 힘이 실린 것으로 보인다.
이날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 한국(3.50%)과 미국(5.25~5.50%) 간 금리 격차는 상단 기준 최대 2.00%p가 유지됐다.
오는 10월 31일~11월 1일(현지시각) 미국 연준의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의 경우 이-팔 전쟁 등 영향이 반영될 것으로 보여 한은은 추가적인 역전폭 확대 부담은 다소 줄일 수 있는 상황으로 풀이된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