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 대표는 11일 국회 정무위원회의 금융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김종민닫기

'꺾기'는 통상 은행이 대출을 해주는 조건으로 다른 금융상품 끼워 팔기를 강요하는 행위를 일컫는다.
하이투자증권의 경우 부동산 PF 과정에서 시행사에 무리한 담보 등을 요구한 의혹을 받는다.
김 의원은 하이투자증권과 관련한 PF '꺾기' 투서가 수십여 건 들어왔다고 언급하며, 대주인 하이투자증권이 차주에 부실채권 매수를 조건으로 대출 약정을 했다고 지적했다.
홍 대표는 "꺾기의 관행은 과거에 있었으나 2010년 이전에 일어난 일이고, 제1금융권에서 (꺾기 관행은) 없다"고 일축했다.
홍 대표는 "'꺾기'의 사례가 많다고 하는데 어떠한 기준으로 하더라도 '꺾기' 사례는 없다고 확실하게 말한다"고 밝혔다.
'돈 급한 차주가 왜 부실채권을 인수하겠나'라는 김 의원 질의에 대해 홍 대표는 "그건 완전히 별개의 거래"라고 선을 그었다.
차주의 자발성을 묻는 질문에 홍 대표는 "(투자가치가 있는지를) 제가 있다, 없다, 말할 수 없지만 자발적으로 샀다고 판단한다"고 했다.
홍 대표는 "증거가 충분하다"고 했다.
홍 대표는 "실무자들끼리 오고 간 이메일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그 이메일 내용을 보면 저희가 강제적으로 떠넘겼다는, 일종의 '꺾기'를 했다는 증거는 발견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아울러 김 의원은 하이투자증권의 내부 감사 사안을 언급하기도 했다. 하이투자증권 부동산 부문 사장의 자녀가 근무하는 증권사에 15조원 규모 기업어음 및 전단채 거래를 밀어줬다는 의혹이 제기된데 대해, 홍 대표는 "현재 감사가 진행 중"이라며 "철저하게 조사하고 있다"고 답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