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사진=정은경기자
이미지 확대보기이 원장은 5일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에서 열린 ‘비대면 금융사고 예방을 위한 협약식’ 이후 기자들과 만나 “캐나다, 스위스 등 주요 선진국 중에서 우리나라 가계부채가 GDP(국내총생산) 대비 높은 수준이라는 점은 인식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2021년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105.4%였는데 가계부채 관리 노력을 하면서 지금은 102%에 조금 못미치는 수준”이라며 “가계부채를 월별 관리 등 꾸준한 관리를 통해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줄면 몇 년 후에는 100% 이하로 떨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또 “8월 말 대비 9월 말 가계부채 증가폭은 1조원 정도 줄어들 것으로 전망하고, 주택담보대출도 전월 대비 증가폭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으로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지난 8월 말 기준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전월 대비 6조2000억원 늘어나며 5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 원장의 예상대로라면 9월 증가폭은 5조원 내외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 원장은 급격한 가계부채 감소는 오히려 서민들에게 독이 될 수 있다고 짚었다. 그는 “절대치를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니다”라며 “가계부채 축소 수준이 빨라지면 생활비 문제 등 가계 연속 가능성의 문제 등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금융시장 상황에 대해 이 원장은 “미국의 금리인상 속도와 폭이 최근 몇 주간 전례가 없을 정도로 진행되고 있고, 미국의 국공채 금리 상승세가 국내 선물시장에 순차 반영돼 이를 미리 눈여겨보고 있었다”고 전했다.
이어 “지난해에는 금리 상승 속도보다 스프레드가 빠르게 벌어졌다. 올해도 불안한 상황은 있지만, 스프레드가 많이 차이 나지 않아 미시적 관점에서는 크레딧 이슈가 현실화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이 원장은 “미국 기준금리가 5.5% 상단을 유지하고 있는데 특별히 이번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직전 FOMC에 비해 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을 것이란 객관적 근거는 없다”라며 “국내 고유의 요인으로 만기가 11월~12월에 몰릴 가능성이 있는 만큼 일별로 자본시장 현황을 체크하며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라임펀드 특혜 환매 의혹과 관련해 진행한 미래에셋증권 검사에서 “유의미한 정황이 나왔다. 검사 중인 건에 대해 말씀드리기 어렵다”고 언급했다.
정은경 기자 ek7869@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