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운 우리말 쉬운 금융] ‘크립토 윈터’는 ‘가상 자산 침체기’로](https://cfn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3092719162807453dd55077bc2175114235199.jpg&nmt=18)
가상 자산 침체기는 가상 자산 가격 감소로 거래량이 지속해서 감소하는 현상을 일컫는 용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Federal Reserve System) 등 전 세계 각국 중앙은행이 치솟는 물가를 잡고자 기준금리 인상 기조를 가져가면서 침체기를 맞게 됐다.
위험자산으로 취급되는 가상 자산보다 예·적금 등 안전자산으로 자금이 이동한 탓이다. 특히 루나(LUNA)·테라USD(UST) 사태와 FTX 파산 사태 등 악재가 연이어 터지며 가상 자산 투자 기피 현상까지 발생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실제로 지표를 보면 ‘가상 자산 침체기’는 확연히 드러난다. 9월 25일 가상 자산 분석 사이트인 코인마켓캡(CoinMarketCap)에 따르면, 가상 자산 전체 시가총액은 전날 대비 114억2481만달러(약 15조2452억원) 쪼그라든 426억2251만달러(약 1391조2754억원)로 집계됐다. 2년 전과 비교하면 두 배 이상 축소된 규모다. 같은 기간 유동성을 나타내는 ‘최근 24시간 거래량’ 역시 150조원에서 40조원으로 4배 가까이 줄었다.
거래소별로 보더라도 마찬가지다. 거래량 기준 국내 1위 가상 자산 거래소인 두나무(대표 이석우닫기


이에 가상 자산 거래소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기능을 최신화하고 수수료를 낮추는 등 고객 유인에 힘쓰고 있다. 추후 찾아올 봄을 위한 준비 작업에 집중하는 것이다.
최근 코인원(Coinone·대표 차명훈)은 고객 거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빠른 주문과 앱 호가 창 주문 기능을 개선했다. 자주 사용하는 주문 조건을 모아 선택 한 번으로 빠르게 주문할 수 있도록 했다. 호가 탭에서도 즉시 주문이 가능해졌다.
코빗(Korbit·대표 오세진닫기

이 밖에 업비트(Upbit‧두나무 대표 이석우)의 경우 신규 기능 출시 전 이용자와 사용성을 함께 확인할 수 있는 ‘실험실’ 기능을 추가했으며, 빗썸은 올해 5월부터 원화 간편 입금 서비스 지원을 하고 있다. 빗썸의 경우, 일부 가상 자산에 한정해 수수료 ‘무료’ 정책도 시행 중이다.
정부와 국회에서도 신뢰 회복을 위한 규율 마련에 나선 상태다. 지난 6월 가상 자산 이용자 보호법을 제정했다. 가상 자산 산업을 제도권 안에 포섭하는 움직임이다. 향후 가상 자산 발행과 공시, 상장 등 업권 전체를 아우르는 2단계 입법을 통해 ‘가상 자산 기본법’을 완성하려 한다.
한 가상 자산 업계 관계자는 “가상 자산 침체기가 계속되는 중이지만, 내년 금리 인하가 시작되고 4년마다 블록당 채굴 보상이 절반으로 줄어드는 비트코인(BTC‧Bitcoin) 반감기에 접어들면 충분히 거래량이 다시 활발해질 수 있다”며 “가상 자산 업계에 봄이 오면 어떤 거래소가 고객을 맞이할 준비를 잘해왔는지 거래량에서 추이에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 전했다.
※ 한국금융신문은 국어문화원연합회와 ‘쉬운 우리말 쓰기’ 운동을 함께 합니다.
임지윤 기자 dlawldbs20@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