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신작 위주의 작품 총 17점이 전시되는 이번 전시에서는 세밀한 묘사가 아니어도 섬세한 감정과 감흥이 전달되는 화가의 작품을 만나볼 수 있다.
정향심의 작품에서 발견되는 미적입장은 보통사람이 생각하는 도덕에 필적할만한 교양과 형식이 있다. 무엇을 전달하기 보다는 와서 발견하고 익히고 숙달된 후 그림을 바라보게 한다.
살갑게 거닐다가 헤어진 후 다가서는 약간의 시간적 간극, 살아온 시간만큼 경험한 사건들이 무디어져 그저 그런 사람이 되어가는 순간의 허전함과 비슷하다. 무관심의 사람이 아니라 세상과의 적당한 거리를 유지한 채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이다. 색을 탐하여 자세히 설명하는 것에서 벗어나 데면데면하고 무표정한 거리두기다. 2023년 가을, 금번 전시되는 작품의 주요 핵심어가 여기에서 출발한다. 작품에 대한 해석이나 감성의 정도를 정하지 않아도 될 만큼 풍부한 감정의 영역이 있다.
화가가 어떤 종류의 사회적 공감과 철학적 입장을 전달하고자 했는가에 대한 의구심을 가져볼 필요가 있다. <걸음은 곡선을 그리며..>가 있다. 걷는 여성과 멈춰진 여성의 배경에는 도식화된 사람들이 우산을 쓰고 바삐 지나간다. 앞면에 그려진 두 여성은 각기 다른 포즈와 다른 표정을 짓고 있다. 무심하지만 바쁜 듯 걷는 여성의 손에는 일본화가 나라요시모토의 “life is only one”의 이미지가 있는 것을 보면 화가임을 유추해 낼 수 있다. 하필 제목이 <걸음은 곡선을 그리며>라니? 아마도 삶이 지나는 길이 구불구불하다는 의역이 아닐까. 꼭 자신이 아니더라도 화가이거나 그림 애호인 이어도 상관없다. 여성의 정체가 중요한 것 또한 아니다. 지금을 사는 현대 여성과 주변인, 함께 있어도 타인으로 느껴지는 잠시의 외면. 공감하지만 공감하지 않는 이중구조의 시대대변이면 충분하다.
<Where you go..> 또한 같은 연결 구조를 지닌다. 아무리 즐거운 그림이라도, 정겹고 흥겨운 어떤 자리일지라도 슬퍼하는 동안은 그곳에서 소외될 수밖에 없음을 진술한다.
여기에 이어지는 <공감>시리즈는 다른 양태의 미적구조를 지니고 있다. 두 손을 모우고 잠시 정지된 모습의 여인, 등짐 지고 골똘에 빠진 여인, 도심 어느 공원에 든 여인, 같은 공간에서 각기 다른 행동을 하는 세여인 등의 작품이 있다. ‘입 가린 여인’과 ‘손 등짐을 진 여인’은 각기의 세계를 가지고 있다. 배경이 그려지지 않았지만 들판이거나 바다이거나 상상에 맡겨도 될 만큼 미학적 목표가 거리두기의 목적으로 자리한다.
화가 정향심은 조선대학교미술대학 졸업 및 동대학원 석사. 박사수료하고 46회의 개인전을, 다수의 그룹전과 단체전을 진행한 중견 여성 화가이다. 이번 전시는 2023년 9월 15일부터 10월 4일까지 삼청동 더아트나인 갤러리에서 관람할 수 있다.

도움말 : 김지윤 큐레이터
이창선 기자 lcs2004@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