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액 개인투자자에게 효율적인 분산투자 기능을 제공하는 공모펀드의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긴축 정책 장기화로 채권금리가 급등했고 거래의 편의성, 저렴한 투자 비용 등의 이점을 지닌 상장지수펀드(ETF)로 자금이 이동한 영향이다. /사진 = 통로이미지
금융투자협회(회장 서유석닫기서유석기사 모아보기)와 KG제로인(대표 한수혁) 등에 따르면 6일 기준 머니마켓펀드(MMF)와 ETF를 제외한 공모펀드 설정액은 약 94조원으로 올해 1조원 이상의 자금이 빠져나갔다. 앞서 지난 2월 16년 만에 100조원 아래로 떨어진 공모펀드 설정액이 여전히 회복하지 못하는 모습이다.
특히 최근 미 연준의 긴축 정책 장기화 우려가 커지면서 투자자들은 일반 채권형 펀드에서 대부분 자금을 회수했다. 올해 5529억원의 설정액이 감소한 ‘우리단기플러스증권투자신탁(채권)ClassC-F’를 운용하는 김동환 우리자산운용 채권운용본부장은 운용보고서를 통해 “3~6월 운용 기간 중 시중금리가 전반적으로 상승해 펀드의 절대 수익은 다소 부진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올해 초 시장에서는 미국의 금리인상 사이클 중단에 대한 기대감이 컸지만, 미 연준은 지난해 3월부터 올해 7월까지 총 11차례에 걸쳐 금리를 인상했다. 수 차례의 금리인상에도 인플레이션이 연준의 목표치인 2%를 상회했고 고용시장도 호조를 보였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5일(현지 시각) 국제유가가 장중 배럴당 90달러를 웃돌아 인플레이션 압력이 고조될 것이란 우려가 커지자 일반 채권형 펀드에서 자금을 회수한 투자자들은 단기 채권, ETF로 발길을 돌렸다.
올해 초단기 채권형 펀드 설정액은 1조6132억원이 증가했다. 초단기채 펀드는 회수 기간이 짧고 장기채보다 상대적으로 금리 변동에 둔감하다. 금리인하 시기에는 자본차익 효과가 떨어지지만, 채권금리가 오를 때 안정적 수익을 기대할 수 있어 투자자들이 단기채 전략을 구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ETF의 경우 5일 기준 국내 자산운용사의 ETF 순자산은 107조7435억원으로 전년(78조5116억원)보다 32.23% 늘었다. 특히 지난달에는 단기금리 상품인 파킹형에 2조4000억원의 자금이 몰렸고 ▲이차전지(7890억원) ▲친환경(6998억원) 테마에도 많은 투자금이 유입됐다.
김재칠 자본시장연구원(원장 신진영) 펀드·연금실장은 ‘공모펀드 시장 경쟁력 제고를 위한 과제’에서 “공모주식형 펀드, 특히 액티브 펀드의 위축은 자산운용사와 투자자들에게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면서 “국내 공모펀드 시장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크게 주식형 펀드, 특히 액티브 주식형 펀드의 상품 매력도 제고와 함께 다양한 자산을 담은 대체투자펀드의 공급 확대가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액티브 운용은 상품·운용전략 설계 능력 배가 등 자산운용사의 장기적인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도 중요하기 때문에 액티브 공모주식형 펀드의 안정적인 운용성과 달성을 위한 자산운용사들의 적극적인 노력과 투자가 절실하다”면서 “공모펀드 거래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적극적인 수익증권상장과 자산운용사들이 공모펀드 시장에서 대체투자펀드를 적극적으로 설계하고 공급할 수 있도록 정책적인 유인체계를 검토해야 한다”고 짚었다.
전한신 기자 pocha@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