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상진 네이버페이 대표가 24일 오후 서울 강남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팀네이버 컨퍼런스 ‘단23(DAN23)’에서 ‘네이버페이, 기술 기반 금융 플랫폼으로의 진화’를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사진제공=네이버페이
이미지 확대보기박상진닫기

결제를 넘어 기술 기반의 종합금융브랜드로 새롭게 거듭날 것을 예고한 박 대표는 이를 위한 세 가지 전략을 언급했다. ▲차별적 데이터 기반의 타겟팅(targeting) 및 스코어링(scoring) 기술을 활용한 대안신용평가(ACS) 고도화 ▲사용자 니즈와 특성에 최적화된 금융상품 비교·추천 및 입점 상품 차별화 ▲네이버페이 증권·부동산 정보 및 커뮤니티 개인화를 통한 금융 서비스 연계 강화 등이다.
현재 서비스 중인 신용대출 비교처럼, 예·적금과 보험 분야에서도 차별화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는 지난 6월 마이데이터 서비스 '내자산'을 중심으로 결제·금융상품·증권·부동산 등 5개 탭으로 구성된 네이버페이 인터페이스 개편이 출발점이 됐다.
네이버페이 결제와 금융상품 검색, 증권·부동산에서 시작되는 사용자 동선에 금융상품 비교·추천을 연결하고, 상품 가입 후 금융·실물자산 관리로 이어지는 종합 포메이션을 구축했다.
각 1000만 이상의 월간활성사용자(MAU)를 가진 네이버페이 증권과 부동산의 금융상품 연계도 강화한다. 연내 네이버페이 증권에서 종목 조회 후 바로 증권사로 연결돼 주식 주문을 할 수 있는 간편연결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네이버페이 부동산에서는 매물 정보 탐색 후 필요한 대출을 이용할 수 있도록 내달 중 전세자금보증 조회·추천이, 연내에는 주택담보대출 비교가 시작될 예정이다.
이는 네이버페이가 준비중인 '데이터 인텔리전스(Data Intelligence)' 신사업으로, 앞으로 제휴 금융상품을 차별화하는 요소이자 금융 플랫폼으로서 네이버페이의 핵심 기술 경쟁력으로 꼽힐 전망이다.
네이버가 다음 달 선보이는 생성형 AI 검색인 '큐'를 금융 서비스에 접목하는 방안도 모색한다. 검색창에 부동산 관련 질문을 하면 '큐'가 네이버페이 부동산 매물정보를 토대로, 답변과 추가로 확인해보면 좋은 매물정보를 알려준다. 주택담보대출 비교까지 연결되는 식이다. 마이데이터 기반 금융 서비스와 주문·결제에도 네이버의 생성형 AI 활용방안이 연구·개발될 예정이다.

네이버페이 새 로고. /사진제공=네이버페이
올 하반기에 알리페이플러스, BC카드-유니온페이와 손잡고 중국과 일본, 대만을 중심으로 해외 결제처를 확대한다. 삼성페이 마그네틱보안전송(MST) 현장결제 서비스에 네이버페이 머니·포인트 결제 수단도 추가한다. 네이버페이 전용 선불카드를 출시하는 등 결제처와 결제 수단 모두 확대할 계획이다.
종합금융브랜드로 거듭나기 위한 새로운 네이버페이 로고도 최초 공개했다. 박 대표는 "새 로고에는 혁신과 기술, 신뢰, 혜택이라는 네 가지 가치를 중심으로 금융의 새로운 영역을 넓히겠다는 의미를 담았다"며 "앞으로 네이버페이의 모든 금융 서비스에 새로운 로고가 적용될 예정"이라고 전했다.
신혜주 기자 hjs0509@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