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세훈 카카오페이손보 대표

여행보험은 여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사망, 질병, 물품 손실 등 다양한 위험을 대비하는 상품으로 정부가 사실상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종식을 선언함에 따라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국내·해외여행보험 가입 수는 2021년 31만5086건에서 지난해 107만9761건으로 242.7% 폭증했다.
아울러 카카오페이손보는 금융안심보험을 통해 금융감독원의 피해환급금 결정 전에도 피보험자가 보험금을 신청하고 보상받을 수 있는 프로세스를 마련했지만, 업계에서 혁신성과 거리가 멀다는 평가를 받았다. 금융안심보험은 기존 보험 대비 보험금 수령까지의 기간을 2개월 이상 단축했으며 보험금 신청 후 영업기준일 72시간 내 보험금 일부 수령할 수 있도록 했다.
카카오페이손보 여행보험에는 카카오페이가 담고자 하는 특성이 반영됐다.
지난달 카카오페이 기자간담회에서 한순욱 운영총괄리더는 “보험 상품 결정권을 온전히 사용자에게 주겠다”며 “사용자 소셜 그래프를 활용해 함께 가입했을 때 더 많은 혜택을 제공하고 기술을 기반으로 청구 등 운영 구조를 효율화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절감된 가치를 사용자에게 환원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새로운 보험 가치를 전달하는 것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 카카오페이 본사 내부 전경.
카카오페이손보는 강점을 최대한 살리는 전략을 채택한 것으로 추측된다. 카카오페이는 젊은층에게 장기보험이 아닌 필요한 순간에 최적화된 보험 상품을 제공한다는 계획을 세웠으며 각자의 니즈에 따라 보험을 설계할 수 있는 DIY(Do it yourself) 구조 등을 앞세우기로 했다.
이를 두고 증권업계는 영업 초기인 만큼 매출 대비 비용 투입이 더 큰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카카오페이손보는 보험금과 사업비가 포함된 항목인 보험비용이 크게 늘어났다. 올 1분기 73억원을 인식하며 지난해 264억원과 견줘볼 때 증가세가 뚜렷했다.
하지만 체질 개선을 통한 보유계약 확대가 필요해 보인다. 올 1분기 보험계약부채는 12억원으로 전년 17억원 대비 축소됐다.
이러한 보유계약 추이는 미니보험이 보여주는 한계성 때문이다. 미니보험은 보험료가 대부분 1만원 안팎으로 저렴하고 납입기간이 일회성이거나 1~2년으로 짧다.
김형일 기자 ktripod4@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