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일 오후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2023 한국금융미래포럼 : 금융대전환, 새도약 길을 찾다’에서 정유신 서강대 기술경영대학원장은 '글로벌 디지털 금융허브의 가능성과 추진방안'을 발표하고 있다./사진=한국금융신문
이미지 확대보기23일 오후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2023 한국금융미래포럼 : 금융대전환, 새도약 길을 찾다’에서 정유신 서강대 기술경영대학원장은 디지털금융 3.0 시대가 도래하며 금융과 비금융 서비스가 무한대로 연결될 수 있다고 말했다.
정유신 원장은 "은행, 자본시장, 보험 등 금융 전분야에서의 고객 및 시장환경 변화에 따라 디지털 능력을 기반으로 새로운 수익모델 및 금융서비스의 생산, 판매, 소비 등 전 과정에서의 디지털 전환을 통해 매출증대 및 비용감축 등 생산성 및 효율성 제고 추진하고 있다"라며 "디지털 전환은 채널 접점 전환이 아니고 생산부터 판매, 소비까지 전 과정에서 일어난다"라고 말했다.
정유신 기술경영대학원장은 금융과 비금융이 연결돼 폭발적인 서비스를 만들 수 있는 만큼 금산분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 원장은 "금융은 비금융과 연결될 수 있고 포인트 찾을 수 있다"라며 "지금 금산분리를 하지 못하면 신사업 못만들고 고용창출도 안된다"고 말했다.
전하경 기자 ceciplus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