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 수단 비교부터 맞춤 정보 제공까지…‘이용자 중심’ 이용 패러다임 변화
가장 큰 변화는 통합검색창을 전면 배치한 것이다. ‘통합검색’은 목적지만 입력하면 카카오T 내 다양한 이동 수단별 경로와 예상 소요시간, 비용을 확인하고 호출·예약까지 한 번에 완료할 수 있는 기능이다.
◇출발시간 설정하면 미래 운행정보 제공…보다 편리해진 이동 서비스 예약
출발시간을 설정해 미래 운행정보를 확인하고, 이용할 서비스를 예약하는 과정도 편리해졌다.
‘미래 운행정보’는 빅데이터 분석과 교통 예측 알고리즘을 통해 미래 특정 시점의 교통정보를 예측하는 기능이다. 검색 결과를 토대로 택시, 대리, 기차 및 시외버스 등 이용자가 원하는 이동 수단을 예약할 수 있다.
류긍선 카카오 모빌리티 대표는 “카카오T는 단순 호출 앱을 넘어, 이동에 필요한 모든 것을 모두 담은 ‘이동 포털’로 진화해 왔다”라며 “이동을 위한 모든 고민과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동반자가 될 수 있도록 서비스 혁신을 지속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이주은 기자 nbjesus@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