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제공=픽사베이
20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2년 신용카드사 영업실적(잠정)'에 따르며 지난해 국내 8개 전업 카드사(신한·KB국민·삼성·현대·롯데·우리·하나·BC카드)의 순이익은 전년 대비 4%(1076억원) 감소한 2조6062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이자비용과 판관비(판매관리비) 등이 증가하며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이자비용은 전년 대비 8524억원 늘었으며 대손충당금 적립액에 따른 비용은 4503억원 증가했다. 판관비도 1년 새 1387억원 늘었다.
이에 비해 수익은 소폭 증가하는 데 그쳤다. 가맹점수수료수익은 전년 대비 206억원, 카드대출수익은 496억원 증가했다. 다만 할부카드수수료수익은 전년 대비 3892억원 증가했으며, 기업대출 등 관련 이자수익은 3445억원 증가했다.
대손준비금 적립 후 순이익은 1조8282억원으로 전년(2조1531억원) 대비 15.1%(3249억원) 감소했다.
자산건전성 측면에서 연체율은 악화됐다. 지난해 말 기준 카드사 연체율은 1.2%로 2021년 말(1.09%) 대비 0.11%포인트(p) 상승했다. 카드채권 연체율은 1.38%로 전년 말(1.24%) 대비 0.14%p 상승했다.
같은 기간 조정자기자본비율은 다소 떨어졌으나 모든 카드사가 경영지도비율은 8%를 상회하며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했다. 지난해 말 조정자기자본비율은 2021년 말(20.8%) 대비 1.4%p 하락한 19.4%를 기록했다.
금융감독원은 "올해 내 미국 기준금리 추가 인상과 경기 하락 우려 등 대내외 경제 및 금융환경 불확실성에 대비해 미래경기전망을 보수적으로 반영해 대손충당금을 충실히 적립하도록 지도하겠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여전채 발행시장 동향과 카드사의 유동성 상황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필요 시 유동성리크스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도록 지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신혜주 기자 hjs0509@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