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경기도 판교에 위치한 카카오뱅크 본사에서 열린 ‘은행산업 경쟁촉진과 금융소비자 편익 제고 위한 현장 간담회’ 직후 기자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 사진=김관주기자
이미지 확대보기
27일 이복현 금감원장은 경기도 판교에 위치한 카카오뱅크 본사에서 열린 ‘은행산업 경쟁촉진과 금융소비자 편익 제고 위한 현장 간담회’ 직후 기자들에게 “다양한 가능성을 다 열어두고 은행 산업 내 경쟁 환경 조성을 위한 방안을 검토하는 중”이라며 “그 과정에서 5대 금융지주 기반의 은행권 입장뿐만 아니라 인터넷은행, 보험, 증권 타 업권 입장까지도 듣고 어떤 부분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특히 인터넷은행의 중금리 대출 관련 규제 완화에 대해서 이 원장은 검토할 여지가 있다고 보고 있다. 그는 “씬파일러(금융이력 부족자)에 대한 신용 공급이라는 취지에 비춰 지켜가야 할 정책적 지향점이 있는 건 명백히 인식하고 있다”면서도 “개선책에 대해 의견들이 나온다면 적극적으로 검토할 의지가 있다”고 설명했다.
인터넷·지방은행의 자본금 규제 완화를 묻자 이 원장은 “은행업은 금융산업의 근간이 되는 핵심적인 산업이다. 외환·금융위기를 겪으면서 은행의 건전성이 상당히 중심이 되는 가치라는 것은 국민적 공감대”라며 “은행의 건전성이 근본적으로 훼손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이다. 이 기준의 전제 하에 여러 가지를 논의할 수는 있다고 생각한다”고 대답했다.
인터넷은행의 기업 대출 취급 허용 건에 대해 이 원장은 “인터넷은행의 최초 설립 취지라든가 이에 비추어서 지속돼 온 환경이라든가 관계를 무시할 수 없다”며 “전체 그림의 틀이 먼저 정해진 다음에 논의할 수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이 원장은 스몰 라이선스 도입으로 인한 신규 플레이어의 진입을 두고 “유일한 해법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지금 시장 내 금융사 간의 경쟁 제한적 요소나 국민들이 봤을 때 지대추구적 환경이라고 볼 수 있는 부분이 있으면 그것을 일단 정리하는 것은 우선순위로 따지면 먼저”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그 과정에서 전체 판을 흔드는 것은 아니더라도 다양한 방식의 각 새로운 분야별 특성화은행의 진입을 허용해 줌으로써 경쟁이 촉진될 수 있다는 일부 입장도 있다는 것들은 경청하고 있다. 균형 있게 검토해갈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간담회는 이 원장이 인터넷은행과 핀테크의 금융 상품 및 서비스 혁신사례 등을 직접 청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윤호영닫기


김관주 기자 gjoo@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