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영상 SKT 사장이 지난 26일(현지 시각)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5대 영역을 중심으로 혁신을 선도하겠다는 ‘AI to Everywhere(AI를 모든 곳에)’를 공개했다. 사진=SK텔레콤
이미지 확대보기
SK텔레콤(대표 유영상)이 지난 26일(현지시각)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MWC23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자사가 보유한 AI 서비스와 기술을 활용해 ‘AI to Everywhere(AI를 모든 곳에)’ 비전을 선포했다.
‘AI to Everywhere’는 AI 컴퍼니 전환을 선언한 SK텔레콤의 비전으로, 5대 영역(고객·기술, 시공간, 산업, 코어 BM, ESG 등)을 중심으로 AI혁신을 선도해 대한민국 AI 생태계를 키우겠다는 의지다.
유영상 사장은 “에이닷은 기술 자체의 진화를 넘어 고객을 가장 잘 이해하는 개인화 된AI서비스로 다가갈 것”이라며 “특히 대화·서비스·캐릭터 등을 고도화하며 한국의 대표 AI 서비스로 자리매김 하겠다”고 했다.
우선 올 1분기에는 △대화 고도화 △멀티 캐릭터 △맞춤 콘텐츠 등 새로운 기능은 올 1분기 업데이트 버전에 선보일 예정이다.
또 에이닷은 충분한 지식 데이터 확보 및 학습·평가 과정을 거쳐 높은 수준의 ‘지식 대화’가 가능하도록 고도화한다. 먼저 대화를 걸거나 친구와 대화하는 듯한 ‘감성 대화’를 준비 중이고, 고객이 필요한 서비스를 직관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목적 대화’의 서비스 연동 범위도 지속 확대한다.
서비스 도메인은 미디어·게임·루틴 등 30여 종에서 향후 100개 이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캐릭터 외부 인기 캐릭터와의 제휴를 추진 중이다.
유 사장은 “글로벌 통신 사업자 얼라이언스와 AI 테크 기업들과의 연합을 통해 로컬 특화 AI 에이전트를 만들고, 기술을 고도화함으로써 에이닷의 글로벌 진출을 가속화하겠다”고 말했다.
모빌리티 오퍼레이터로서의 첫 발판은 ‘UAM(Urban Air Mobility) 사업’이다. 현재 SK텔레콤의 UAM 사업은 적용 사례 구체화 및 국내 테스트 비행을 통해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회사는 이러한 기술 리더십을 바탕으로 올해 제주·대구 등 국내 주요 지자체와 공항-도심 이동, 새로운 관광 상품 개발 등 다양한 적용 사례를 더욱 구체화해 선보인다는 방침이다.
또 장기 프로젝트로 추진 중인 ‘자율주행’은 AI 솔루션 영역으로 진출할 계획이다.
하드웨어 측면에선 내년 출시 예정인 자율주행 전용 반도체 ‘사피온’과 ‘팬텀 AI’의 기술을, 플랫폼 측면에선 SK텔레콤의 ‘누구 오토(NUGU AUTO)’의 인포테인먼트·차량제어 등 상용화 경험을 더해 글로벌 탑 수준의 자율주행 솔루션 패키지를 갖춘다는 계획이다.
이 외에도 ‘로봇’ 분야에서는 개방형 로보틱스 데이터 플랫폼 개발 협력을 통해 로봇, 모빌리티 분야의 AI 생태계를 활성화해 나간다. 메타버스 서비스 ‘이프랜드(ifland)’를 통해 고객에 시공간 제약을 없애는 디지털 모빌리티 서비스를 선보인다는 방침이다.

(사진 왼쪽부터) 팬텀AI 조형기 대표, 사피온 류수정 대표, 베스핀글로벌 이한주 대표, SKT 유영상 사장, 몰로코 안익진 대표, 코난테크놀로지 양승현CTO,스 윗 이주환 대표, 투아트 조수원 대표. 사진=SK텔레콤
이미지 확대보기인프라&하드웨어 영역서는 AI의 핵심 하드웨어인 AI 반도체 시장에 ‘사피온’과 함께 진출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사피온’은 올 하반기 X330을 출시 준비 중이다. 이는 전작(X220) 대비 4배의 성능을 갖췄다. 이 외에도 NHN클라우드, SKT NPU 팜(farm), SK하이닉스 스마트팩토리 등 대내외 레퍼런스를 빠르게 확대하고 있다.
기반 기술&응용·서비스 영역서는 SK텔레콤이 보유한 고객 데이터에 광고 솔루션 테크 기업인 ‘몰로코’의 AI·머신러닝 기술을 접목해 통합 광고 플랫폼 ‘ASUM’을 론칭하고 수익화하는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산에 힘쓴다.
또 AI 소프트웨어 전문기업 ‘코난테크놀로지’와 함께 기술 협력·시장 확대 등 AI 시너지 창출 관점에서의 협업을 통해 ▲로봇 ▲미디어 ▲데이터분석 ▲커머스 ▲공항 ▲제조 등 다양한 산업 영억으로 AI 비디오, 머신 러닝, 디지털 트윈 등 사업 확장을 기대하고 있다.
기존 통신 사업에선 업의 영역 구분 없이 디지털 전환의 흐름에 맞춰, 고객 경험의 디지털 혁신은 물론 초개인화 서비스 등 완전히 새로운 디지털 전환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미디어 사업은 고객 경험과 미디어 밸류체인 전반에서 AIX를 시도하는 AI TV, AI 커머스, AI 콘텐츠 등을 준비 중이다. 구독 사업, T우주는 Btv시너지와 금융·보험·렌탈 등 다양한 신규 상품 도입, 글로벌 탑 브랜드와의 파격 제휴를 통해 규모와 수익성을 제고한다.
올해 통신 사업 관련 데이터는 물론 제휴사의 데이터를 결합한 ‘AI 기반 오픈형 구독 커머스 플랫폼’을 론칭한다. 생애주기 데이터 기반 초개인화 마케팅을 통해 고객이 원하는 것을 알아서 추천하고, 파트너사를 통해 고객이 필요한 상품을 제대로 관리·공급한다는 방침이다.
유 사장은 “SK텔레콤의 5대 영역의 AI 혁신은 AI to Everywhere(AI를 모든 곳에), 즉 SK텔레콤이 가진 AI 역량의 실체를 고객의 일상에 구현하는 것”이라며 “SK텔레콤의 궁극적인 목표는 이를 통해 모든 고객이 AI를 누릴 수 있는 AI for Everyone(모두를 위한AI)의 세상을 만드는 것”이라고 말했다.
정은경 기자 ek7869@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