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7일 LG생활건강은 3분기 매출 7% 줄어든 1조8703억원, 영업이익은 44.5% 감소한 1901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아모레퍼시픽은 지난 31일 실적발표를 통해 전년 동기 대비 매출 15.9% 감소한 1조218억원, 영업이익은 36.2% 줄어든 330억원을 실현했다고 전했다.
양사 모두 영업이익 감소 원인을 중국 소비 시장 둔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원자재 가격 상승 등 국내외 경영환경 악화로 꼽았다.
먼저 LG생활건강의 경우 화장품 사업 부문이 중국 소비 둔화 직격탄을 맞았다. 뷰티 사업 3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3.1% 감소한 7892억원, 영업이익은 68.6% 감소한 676억원을 기록했다. LG생활건강 측은 "중국 현지 봉쇄로 인해 오프라인 매장 영업 정상화가 지연되고 인플루언서에 대한 정부 제재 강화로 온라인 매출이 타격 받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마찬가지로 아모레퍼시픽도 해외 매출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중국 소비 시장이 둔화하면서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아모레퍼시픽의 해외 사업 3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2.8% 줄어든 3348억원을 실현했다. 영업이익은 92억원의 적자를 봤다. 중국인이 대다수를 차지하는 국내 면세 매출 역시 감소하며 국내 영업이익이 50% 줄어든 294억원을 기록했다.
중국 내 화장품 매출이 감소함과 동시에 경쟁이 치열해지는 점도 양사에게는 악재다. 중국 리서치 업체 MKTINDEX에 따르면 뷰티케어 분야는 지난 2월부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0%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MKTINDEX 측은 "메이크업의 경우 소비자의 구매 충성도와 재구매율이 낮고 업계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고 했다.
중국 내 주요 소비층이 변화한 것도 4분기 전망을 어렵게 보는 이유다. 코트라(kotra)는 '달라진 중국 화장품 시장, 한국 화장품의 경쟁 상대는' 보고서를 통해 중국 화장품 주 소비자군이 90년대생, 95년대생, 00년대생인 19-35세 여성으로 세대교체가 이뤄졌다고 밝혔다. 해당 소비층은 70,80년대생보다 소비 능력을 갖추고 있지만 해외 유명 브랜드를 맹목적으로 선호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코트라 측은 "이들은 입소문이 난 중국 브랜드에 오픈 마인드다"고 분석했다.
그럼에도 화장품 업계는 중국 시장을 포기할 수 없다고 이야기한다. 중국 화장품 시장의 연평균 복합성장률(CAGR)은 전세계 2.7%, 미국 2.0%, 일본 2.8% 대비 4배 이상인 10.3%다. 시장규모도 3188억원에서 5726억원으로 확대되며 전세계 2위를 기록했다. 한 화장품 업계 관계자는 "중국 시장은 여전히 버릴 수도 아예 냅두고 갈 수도 없는 시장이다"며 "중국 내 화장품 시장이 워낙 크기 때문에 탈(脫)중국을 할 수 없다"고 전했다.
나선혜 기자 hisunny20@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