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총재는 이날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종합 국정감사에 출석해 전일 정부와 한은 등이 내놓은 회사채 시장 및 단기금융시장 경색 완화 대책이 물가에 미칠 영향에 대한 이수진 더불어민주당 의원 질문에 대해 이같이 답했다.
이 의원이 서민들이 물가 때문에 고통받게 생겼다고 하자, 이 총재는 "어제 발표된 정책은 미시 정책으로서 금융안정을 시도한 정책이고, 거시적으로는 한은이 아직 직접적인 유동성 공급은 하지 않아서 물가에 직접적 영향은 없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유동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0월 소비자물가 정점(peak)론을 얘기하는데 쉽지 않아 보인다"고 지적하며 한은의 존재 이유로서 물가 안정을 강조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이 총재는 "물가가 10월 정점으로 하는 전제 조건이 있으나, 최근 식료품 등 물가가 다시 좀 올라가는 모습을 보이는 것은 유가는 떨어졌음에도 환율의 영향이 있다"고 진단했다.
이 총재는 "환율(원화가치)의 절하를 막으려면 저희가 여러 다른 조치를 해야 하는데, 그것 역시 많은 코스트(비용)를 가져온다"며 "예를 들어 환율(상승)을 막기 위해 무조건 이자율(금리)를 올릴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전반적으로 환율은 국제금융시장 움직임을 따라 움직이기 때문에 환율의 큰 트렌드를 바꿀 수 있는 방법은 없다"고 달러 강세 속 제약된 상황을 제시했다.
이 총재는 "외환시장 쏠림 현상을 막고 있고 긴축 통화정책을 통해 당분간 물가를 잡으려고 노력하고 있다"며 "물가 상승이 온 국민에게 고통을 주는 것이 맞기 때문에, 가지고 있는 툴(tool)로 최선의 조합을 찾아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