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27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관에서 중소벤처기업부 차관, 금융감독원장, 5대 금융지주 회장 등 주요 금융업권협회, 관련 정책기관장들과 만기연장·상환유예와 관련해 논의했다./사진=금융위원회
이미지 확대보기
김 위원장은 이날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만기연장·상환유예 관련 간담회'에서 “최근 예상치 못한 급격한 3고 현상 등 경제·금융여건 악화로 자영업자·중소기업의 상환여력 회복이 지연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위원장은 “당초 예정대로 9월 말에 일시에 만기연장·상환유예 조치를 종료하면 일시에 대규모 부실 발생으로 사회적 충격뿐 아니라 금융권 부실 전이 등 시스템 리스크 발생 우려도 제기됐다”며 “이에 자영업자·중소기업 차주뿐 아니라 금융권도 같이 연착륙할 수 있는 만기연장·상환유예 조치 연장 및 연착륙 지원방안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만기연장 차주는 최대 3년간, 상환유예 차주는 최대 1년간 경영정상화를 도모하면서 정상적인 부채상환이 어려우면 금융권 자체 채무조정 프로그램이나 새출발기금 등을 활용한 재기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된다”고 말했다.
이어 “상환유예 지원기간 중 정상영업 회복 이후의 정상상환계획을 선제적으로 마련토록 할 것”며 “정상 상환이 어려워 채무조정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차주에게는 새출발기금 등 채무조정 프로그램을 통해 상환부담을 완화할 수 있도록 선택권을 부여했다”고 덧붙였다.
김 위원장은 이날 참석자들에게 “이번 방안이 현장에서 혼란 없이 운영될 수 있도록 창구단까지 제도 내용을 알리고 이행상황을 점검해달라”며 “금융회사 자체 프리워크아웃 제도도 재정비해 차주 특성에 맞는 채무 재조정이 이뤄질 수 있게 해달라”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정부도 새로운 만기연장·상환유예 기간 중 차주들의 경영을 지원하기 위해 ‘125조원 + α 민생금융지원 프로그램’을 차질없이 추진하고, 중소기업에 대한 추가 금융지원방안도 조속한 시일 내에 마련·발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