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이 상품의 운용보수는 빈티지(Vintage·목표 은퇴 시점)별로 인하율이 달라진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채권혼합‧2020‧2025‧2030 : 연 0.23%→0.196% ▲2035 : 연 0.28%→0.238% ▲2040·2045·2050‧2055‧2060 : 연 0.33%→0.281%로 각각 약 3bp(1bp=0.01%포인트)~5bp 가량 연 운용보수를 인하한다.
퇴직연금 사전 지정 운용제도(Default Option) 전용 상품인 ‘한국투자TDF알아서펀드 디폴트 옵션 클래스(C-RO)’도 새로 만들었다.
해당 수수료 수취 방식(클래스)의 경우, 퇴직연금 온라인 클래스(C-Re) 판매보수인 연 0.195~0.36%의 약 80% 수준에 해당하는 연 0.156~0.288%를 책정했다. 디폴트 옵션이 퇴직연금의 효율적 운용과 수익률 제고를 목적으로 하는 만큼 보수를 낮춰 고객 수익률을 높이는 데 앞장서는 것이다.
TDF는 투자자의 은퇴 예상 연도를 목표 시점으로 잡고 생애 주기에 따른 자산 배분 전략에 맞춰 포트폴리오(Portfolio‧자산 배분 전략)를 알아서 조정하는 글로벌 자산 배분 펀드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은 글로벌 연금 전문 운용사 ‘티로프라이스’(T. Rowe Price‧대표 로버트 W. 샤프스)와의 협업으로 ‘한국투자TDF알아서펀드’를 운용하면서 장기 성과를 입증해왔다.
펀드평가사 ‘에프앤가이드’(FnGuide·대표 김군호‧이철순)에 따르면, 지난 2일 기준 ‘한국투자TDF알아서2050펀드UH(C-F 클래스)’의 3년 수익률은 28.82%다. 국내에 설정된 TDF 가운데 1위에 해당한다.
오원석 한국투자신탁운용 연금마케팅1부장은 “연금 투자는 길게 30년 이상 봐야 하는 초 장기 투자”라며 “그런 만큼 한국투자TDF알아서펀드와 같이 지속 가능성을 검증한 전문가 집단의 운용 전략을 믿고 투자하는 방법을 추천한다”고 말했다.
한국은 연금 자산 대부분이 원리금 보장형 상품으로 운용되고 있다. 미국이나 호주 등 연금 선진국에서 연금계좌에서의 금융 투자가 활발한 것과 사뭇 다른 상황이다.
이에 관해 오 부장은 “수익률이 낮고 자산 증식 속도가 더딘 점은 한국인 대부분의 노후 자금이 만성적 부족 상태에 있는 주원닫기

임지윤 기자 dlawldbs20@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