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은행과 신한은행은 경기도 양주, 경상북도 영주 지역에 공동점포를 개점한다고 5일 밝혔다.
은행 공동점포는 시중은행 영업점이 부족한 지역 고객의 대면채널 접근성을 유지하기 위한 대안으로 논의돼 왔다.
앞서 국민·신한은행은 연초부터 은행 간 대상 지역 선정 및 운영방안을 구체적으로 검토해 공동점포를 추진했다.
양주 고읍과 영주는 국민은행과 신한은행이 100m 내 근거리에서 영업점을 운영해왔던 지역이다.
해당 지역들은 고객의 불편을 최소화하면서 기존과 동일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돼 공동점포 운영 지역으로 선정됐다.
이번 공동점포는 국민은행의 양주고읍지점, 신한은행의 영주지점을 공유하는 형태로 운영된다. 신한은행 영주지점은 국민은행의 영주지점이 이전하고 국민은행 양주고읍지점은 신한은행의 고읍지점이 이전해 하나의 지점에서 고객 대기공간을 공유하고 각 은행의 창구를 별도 운영해 국민·신한은행의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했다.
국민·신한은행 공동점포는 동일 점포 내 창구, 금고 등 양 은행이 개별 영업에 필요한 공간은 별도로 운영하고 객장, 자동화 코너, 주차장 등 고객 이용공간을 공유한다.
특히 이번 공동점포는 고령층 등 금융소외계층의 대면 채널 상담 선호도를 반영해 기존 영업점과 동일하게 ▲여수신 ▲외환 ▲전자금융 ▲부수 대행 등 모든 은행 업무가 가능하게 했다.
또한 내부 인테리어는 은행을 방문하는 고객이 보다 편안한 분위기에서 금융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고객중심 점포 디자인을 반영했고 양 은행 업무공간을 구분해 고객의 업무 편의성을 높였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은행 간 공동점포 도입을 통해 디지털 취약계층의 오프라인 점포 이용 편의성이 향상되길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미래 금융환경의 변화에 대응한 다양한 영업점 운영모델 개발·도입을 통해 금융소외계층을 비롯한 은행 고객 모두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이번 신한·국민은행 공동점포 운영을 통해 고령층 등 금융소외계층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은행의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겠다”며 “앞으로도 지역과 점주를 고려한 오프라인 채널 접근성 확대로 고객의 금융 접근성과 은행 업무 편의성 제고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관주 기자 gjoo@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