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기석 하나은행 자산관리그룹 부행장(왼쪽)과 서봉균 삼성자산운용 대표가 DB형 퇴직연금제도의 효율적 자산운용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식에 참석해 업무협약서를 들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사진제공=하나은행
이미지 확대보기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하나은행과 삼성자산운용은 ▲퇴직연금 자산관리서비스 인프라 구축 ▲퇴직연금 상품 공동 개발 ▲퇴직연금 IPS 수립·자산배분·위험관리·성과평가 자문 ▲퇴직연금 자산관리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2022년 개정된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은 DB형 퇴직연금제도를 운영하는 상시 근로자 300인 이상 사업장을 대상으로 사내 적립금운용위원회 구성, 적립금운용계획서(IPS) 작성을 의무화한다.
하나은행은 삼성자산운용과 협업을 통해 삼성자산운용의 기금운용 노하우를 담은 자산운용 솔루션을 활용해 기업별 특화 상품을 개발할 예정이다. 이를 바탕으로 DB형 제도에서도 개정된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을 반영하는 등 기업별 맞춤형 자산관리 서비스를 한층 더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더불어 하나은행은 기존에 진행 중인 IPS컨설팅 서비스를 고도화해 ▲기업별 퇴직 부채 흐름 진단 및 전망 ▲부채 특성을 기반으로 한 목표수익률 도출 ▲기업의 투자 가이드라인을 반영한 자산관리 인프라 구축을 통한 기업별 맞춤형 자산배분 솔루션도 제공할 예정이다.
삼성자산운용은 이번 협약으로 ▲기존 IPS컨설팅 서비스 고도화를 통한 기업별 퇴직부채 흐름 진단 및 전망 ▲부채 특성을 기반으로 한 목표수익률 도출 ▲기업의 투자 가이드라인을 반영한 최적의 자산배분 등 기업별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솔루션을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김기석 하나은행 자산관리그룹 부행장은 “연금 자산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만큼, 퇴직연금사업자로서 더욱 큰 책임감을 느낀다”며 “꾸준히 성장하는 연금 시장에서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DB형 제도에 특화된 자산운용 솔루션으로 질적 성장을 이뤄 나가겠다”고 밝혔다.
서봉균 삼성자산운용 대표는 “DB형 퇴직연금 운용위원회 도입과 IPS 의무화는 그동안 정체돼 있던 퇴직연금 제도가 한 단계 더 발전하는 계기가 될 것이며 이번 양사 간의 협업이 장기 자산운용에 필요한 원칙과 신뢰를 제공하는 윈윈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변화하는 퇴직연금 시장 속에서 효율적인 자산관리 전략으로 더 많은 고객분들께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함은 물론 퇴직연금 시장의 성장과 발전에 함께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김관주 기자 gjoo@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