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금융감독원 금융상품통합비교 공시사이트 ‘금융상품 한눈에’에 따르면 SBI저축은행의 ‘복리정기예금(신한카드)’이 4.35%를 제공하며 가장 높은 금리를 제공했다.
SBI저축은행의 ‘복리정기예금(신한카드)’은 특판 상품으로 신한카드 이용조건을 충족할 경우 우대금리를 제공한다. 오는 31일까지 한 달 동안 4만좌를 선착순으로 판매하며 ‘사이다뱅크 복리정기예금’ 3.15%에 신한카드 우대금리 1.2%p를 더해 최대 4.35%를 제공한다.
우대금리는 신한카드(신용카드)를 직전 6개월 이상 이용한 이력이 없고, 특판 가입 후 3개월내 20만원 이상 대상카드를 사용하며 예금 만기까지 신한카드를 보유하고 있으면 충족된다.
저축은행중앙회 공시에 따르면 저축은행의 평균 예금금리는 가입기간 6개월 기준 2.09%를 기록하며 전주와 동일했다. 12개월 기준은 0.03%p 상승한 3.51%를, 24개월 기준은 0.02%p 상승한 3.51%를 기록했다.
오투저축은행의 'E-정기예금'과 우리저축은행의 '정기예금(비대면)'은 3.81%를 제공하며 뒤를 이었다. 키움예스저축은행의 'e-회전yes정기예금(1년단위 변동금리상품) (인터넷뱅킹, 스마트뱅킹)'과 'SB톡톡 회전yes정기예금(1년단위 변동금리상품) (비대면)', 키움저축은행의 '비대면 회전식정기예금 (1년단위 변동금리상품)', OSB저축은행의 'OSB회전식정기예금(인터넷뱅킹, 스마트뱅킹)' 등은 3.80%를 제공했다.
HB저축은행의 '스마트회전정기예금'과 'e-회전정기예금'은 3.77%를 제공했다. 민국저축은행의 '비대면정기예금(비대면)'과 '톡톡정기예금(모바일)', 'e-행복정기예금(인터넷)', 오투저축은행의 '비대면 정기예금'과 '정기예금', 흥국저축은행의 '비대면 정기예금'과 'E-정기예금', 'S-정기예금'은 3.76%를 제공했다.
금융지주계열 저축은행에서는 BNK저축은행의 '삼삼한정기예금(회전정기예금)(1년단위 변동금리)'과 IBK저축은행의 'IBKSB e-회전정기예금(변동금리)'이 3.60%를 제공하며 가장 높은 금리를 기록했다.
이어 우리금융저축은행의 '우리E음정기예금'과 'e-정기예금', 'e-회전정기예금', KB저축은행의 '정기예금'과 'KB e-plus 정기예금', NH저축은행의 '비대면 정기예금'과 '회전식정기예금', 하나저축은행의 '비대면 세바퀴정기예금'과 '세바퀴정기예금' 등은 3.50%를 제공했다.
추가 우대금리를 제공하는 상품도 있다. 저축은행의 우대조건은 주요 시중은행보다 쉽게 충족할 수 있어 우대조건을 미리 확인해 추가 금리를 받는 것도 중요하다.
SBI저축은행의 ‘정기예금’은 스마트뱅킹을 포함해 인터넷뱅킹으로 상품에 가입하면 금리를 0.10%p 추가 제공한다. ‘복리정기예금(사이다)’은 만기 시 우대금리 0.50%p를, 자동연장 재예치 시 0.10%p를 추가 제공한다.
KB저축은행의 ‘정기예금’은 인터넷뱅킹을 통해 신규 가입해 출금계좌를 등록한 후 당일 창구 신규 가입시 우대금리 연 0.10%p를 제공한다. BNK저축은행의 ‘정기예금’은 인터넷 가입 시 0.10%p를 제공한다.
금감원은 “금융회사의 상품별 이자율 등 거래조건이 수시로 변경돼 지연 공시될 수 있으므로 거래 전 반드시 해당 금융회사에 문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신혜주 기자 hjs0509@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