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시중은행 직원의 지난해 평균 연봉이 1억원을 웃도는 가운데 금리 인상기에 지나친 ‘밥그릇 지키기’ 파업이 아니냐는 비판이 나온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노조는 오는 9월 16일 총파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달 8일부터 19일까지 조합원을 대상으로 쟁의행위 찬반 투표를 진행할 예정이다. 금융노조에는 시중은행을 비롯해 국책은행과 지방은행 등 39개 지부가 소속돼 있다.
사측인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와 금융노조는 네 차례에 걸친 교섭에도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지난달 6일 협상 결렬 이후 고용노동부 산하 중앙노동위원회로 안건이 넘어갔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해 지난달 26일 ‘조정 중지’ 결정이 내려졌다.
핵심 쟁점은 임금 인상 폭이다. 금융노조는 올해 임금 및 단체협약 교섭에서 임금 6.1% 인상과 주 36시간(4.5일) 근무, 영업점 폐쇄 금지 등을 요구했다. 사측은 임금 1.4% 인상안을 제시했다.
근무시간 단축이나 영업점 유지 등은 경영상 판단이라는 점에서 노사 협상 대상이 될 수 없다는 게 사측 입장이다.
지난해에도 금융노조는 정규직 임금 4.3% 인상을 요구했고, 사측은 1.2% 인상안을 제시하면서 갈등을 빚었다. 당시 노사가 합의점을 찾지 못하면서 노조는 총파업을 예고했으나 추가 협상을 통해 2.4% 인상에 합의하면서 총파업은 면했다.
금융노조는 신규 채용 확대와 임금피크제 개선, 국책은행 지방 이전 반대, 해고 간부 복직 등도 요구하고 있다.
총파업이 현실화하면 부정적 여론이 확산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주요 시중은행 직원 평균 연봉이 1억원을 웃도는 데다 금리 상승기 예대금리차를 통한 은행들의 ‘이자 장사’가 과도하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큰 상황이기 때문이다.
최근 우리은행 직원의 횡령 사건, 주요 은행들의 외화 송금 이상 거래 등 잇따른 사고로 은행권이 사회적인 비판을 받고 있는 점도 총파업 강행에 부담 요인으로 자리 잡고 있다.
금융노조는 총파업이 결정되더라도 영업점 적정인력은 유지하는 등 피해를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