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공사의 필수 원자재인 시멘트의 원료인 유연탄 등의 가격은 1년 전 같은 시기와 비교해 2배 이상 뛰었다. KOMIS 한국자원정보서비스에 따르면 유연탄 가격은 2021년 3월에는 톤당 72.48달러 였으나, 1년 뒤인 2022년 3월에는 톤당 256달러까지 치솟았다. 또 다른 필수 자재인 철근 가격 또한 지난해 톤당 71만원대에서 올해 5월 통당 119만원으로 집계됐다.
원유 가격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3월 브렌트유는 배럴당 69.36달러에 거래됐으나, 1년 뒤인 올해 3월에는 배럴당 120달러 수준까지 치솟았다. 장거리 운행이 대다수인 화물차 기사들이 안전운임제의 일몰제를 폐지해달라고 요구하고 나선 이유 중 하나다.
화물연대 총파업으로 인해 당장 시멘트 수급 길이 막히자, 지방 공사현장에서는 셧다운을 우려해야 할 상황도 속출하고 있다. 건설업계에 따르면 이날 기준 제주지역 시멘트 재고량은 많아야 2∼3일치 수준으로 사실상 바닥을 보인 상태인 것으로 전해졌다. 그런가 하면 시멘트를 출하해야 할 공장에서는 시멘트를 내보내지 못해 변질을 걱정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등, 화물 전달이 제 때 이뤄지지 않으며 건설현장들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대형 건설사들은 상대적으로 미리 확보했거나 비축해둔 자재를 활용하며 상황을 지켜보고 있지만, 이마저도 여의치 않은 중견사들의 한숨은 더 큰 상태다. 한 중견 건설사 관계자는 “연초 발생한 채석장 사고 이후로 지방에서 원자재를 수송해서 쓸 수밖에 없는 상태였는데, 이번에 이런 (파업) 상황까지 겹쳐서 현장 어려움이 더 커질 것 같다”며 우려를 표했다.
화물연대와 화주, 정책당국 등의 갈등 해결 실마리가 보이지 않으면서 사태가 장기화 조짐을 보이는 부분 역시 우려를 키우고 있다.
원희룡닫기

그러나 윤석열닫기

9일 오후 열린 화물연대와 더불어민주당의 간담회에서도 날선 반응이 나왔다. 이봉주 화물연대본부 위원장은 모두발언을 통해 "화물연대는 무기한 전면 파업이 벌어질 경우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최대한 자제하고 참아오며 정부와 대화로 해결하려고 했다"며 "(정부는) 제도가 소멸될 시간까지 수수방관했다"고 비판했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