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코는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을 위해 ▲대출 알선‧광고 등 문자메시지 상 발신번호로 전화하지 않기 ▲출처가 불분명한 홈페이지 주소를 클릭하거나 애플리케이션(앱) 설치하지 않기 ▲대출을 빙자해 돈을 요구하는 대출사기 주의하기 ▲신청서류 명목으로 통장, 개인정보가 기재된 재직증명서 등 개인 금융거래 정보를 제공하지 않을 것을 당부했다.
캠코는 대출중개인을 통한 대출알선 및 스마트폰 앱, 음성메시지, 문자 등을 통한 모객행위를 일체 하지 않는다. 보이스피싱 의심 전화를 받을 경우 반드시 캠코 콜센터로 재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캠코 관계자는 “보이스피싱 사기집단은 범죄수법이 대범해져 정부기관을 사칭하는 인터넷 사이트를 불법으로 운영하기도 한다”며 “캠코 등을 사칭한 스마트폰 앱을 설치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공공기관으로 오인하게 하는 등 사기수법이 갈수록 지능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문자나 SNS에서 설치를 유도하는 스마트폰 앱은 악성 해킹프로그램이 대부분이다. 고객이 악성 앱이 설치된 휴대전화로 금융회사 등의 고객지원센터에 전화할 경우 사기집단으로 자동 연결돼 피해를 입게 될 우려가 크다”고 설명했다.
김관주 기자 gjoo@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