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일 우리은행에 따르면 이번 개선은 개인형 IRP를 이용하는 고객이 연금수령을 신청할 때 기존의 정액지급형이나 조기집중형 등 다소 복잡한 수령방식을 통합해 기간 지정 방식(수령기간을 지정)과 금액 지정 방식(수령금액을 지정)으로 이원화했다.
또한 연금수령고객이 갑자기 현금이 필요할 경우를 대비해 횟수 제한 없이 자유롭게 인출이 가능한 자유인출방식과 연금을 수령 중인 고객이 필요 시 연간 연금수령한도 내에서 연 1회 추가 인출이 가능한 일부인출방식을 신설했다.
기존 연금수령 신청 시 연금수령방식을 한 번 설정하면 수령 개시 후 변경이 불가했으나 가능하도록 했다. 연금 수령 중인 고객도 ETF로 연금자산을 운용할 수 있도록 고객 선택권을 개선했다.
DC/IRP 등 퇴직연금을 ETF로 운용 시 상품 교체 편의성도 개선했다. 이로 인해 기존 상품과 ETF 간 직접거래가 가능해졌다. 기존에는 ETF거래 시 반드시 기존 상품(정기예금, 펀드 등)을 현금화한 후 매수할 수 있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고객들이 더욱 편리하게 퇴직연금을 관리하고 지급받을 수 있도록 시스템을 전면 개선했다”며 “앞으로도 고객들의 소중한 연금 자산 관리를 위해 지속적으로 거래 시스템을 고도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김관주 기자 gjoo@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