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용태 금융감독원 국장이 17일 오후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 국제회의실에서 열린 '2022 한국금융미래포럼'에 참석해 "현재 섭테크 기술이 데이터 수집 뿐 아니라 감독 부문으로 확대되고 있다"고 말했다./사진제공=한국금융신문
이미지 확대보기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섭테크는 데이터 수집과 분석에 활용될 수 있으며, 세부적으로는 자동화된 보고와 데이터관리, 가상비서 등으로 활용된다. 섭테크는 아직 도입 초기단계로 39개 해외 감독당국 중에서 절반만이 전략을 수립했다. 섭테크 전략수준은 1세대에서 4세대로 발전하는데 대부분 2세대에 해당된다.
섭테크는 데이터수집과 분석 뿐 아니라 건전성 감독으로 확대되는 추세다. 지난해 건전성 감독을 위한 섭테크 분석툴의 수가 71건으로 지난 2019년 12건 대비 크게 증가했다. 지난 2019년 섭테크툴 중에서 불건전영업행위 32%, 데이터보고 30%를 차지했으며, 건전성 감독 툴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미미했다.
WB는 현재 ▲감독정보 보고 ▲민원정보 수집과 처리 ▲비정형 자료를 통한 시장감시 ▲문서 분석기능 강화 4가지 영역으로 구분해 섭테크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영국의 경우 감독대상 기관이 보고하는 많은 자료와 해당 기관과 관련한 시장의 자료를 분석해주는 플랫폼을 개발했다.
김 국장은 "실제 프랑스 금융시장청과 아일랜드 중앙은행처는 기존 정형화된 자료에 유튜브, 트위터 등 비정형화된 자료를 모아서 감시 기능을 강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BIS와 싱가포르 금융당국은 지난 3월 감독정보 분석 플랫폼 '프로젝트 엘립스(Project Ellipse)'의 초기 모형을 발표했다. 김 국장은 "이런 플랫폼을 통해 특정 기업의 부실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 국장은 "차후 섭테크를 활용해 SNS에 있는 비정형 자료를 자동적으로 모아 감독 정책이나 필요한 상황에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나선혜 기자 hisunny20@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