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혜주 신한은행 마이데이터유닛장 상무가 17일 오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2022 한국금융미래포럼 : 디지털금융 새 길을 열다’에서 주제발표하고 있다./사진=한국금융신문
이미지 확대보기김 상무는 이날 오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2022 한국금융미래포럼 : 디지털금융 새 길을 열다’에서 “디지털 전환에서 가장 핵심적인 것이 데이터 확보”라며 “데이터를 확보하고 분석해 디지털을 통해 잘 전달하는 삼박자가 맞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 상무는 “금융권은 자산 자체뿐 아니라 자산형성의 원천이 되는 소득과 소비에 대한 정보도 같이 확보해야 한다”며 “자산형성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정보, 자산형성 결과로 나타나는 시장의 동향을 알아낼 수 있어야 디지털 전환에 대응할 수 있다. 그런 관점에서 마이데이터는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김 상무는 “기존 금융사들은 자사와 거래했던 금융 트랜잭션을 갖고 있고 그 과정에서 발견하는 자산 정보를 일부 이해하고 있었지만 이제는 신용과 관련된 표준화된 정보들을 주고 받으면서 타 기관의 정보들도 다 알게 됐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앞으로는 공공, 의료·보건, 유통, 통신 등 마이데이터로 확장되면서 얻을 수 있는 정보들이 계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다”며 “이러한 정보들로 단기적으로는 자산형성 과정을 이해하고, 중장기적으로는 고객의 삶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