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는 2550선까지 급락해 연저점을 기록했고, 코스닥도 추락했다.
가상자산(코인) 시장 악재도 겹쳐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급격히 후퇴했다.
원/달러 환율은 장중 1291원을 터치하는 등 달러 초강세를 기록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42.19포인트(-1.63%) 하락한 2550.08에 마감했다. 코스피는 옵션만기일까지 겹쳐 8거래일 연속 하락했다.
코스피 수급을 보면 외국인(-2800억원), 기관(-1600억원)이 동반 순매도로 지수를 끌어내렸다. 반면 개인은 3900억원 순매수했다.
프로그램 매매는 차익 순매도, 비차익 순매도로 전체 1290억원 매도 우위를 보였다.
이날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2.68포인트(-3.77%) 급락한 833.66에 마감했다.
코스닥 수급을 보면 역시 기관(-2400억원), 외국인(-670억원)이 동반 순매도했다. 개인의 경우 3100억원 순매수했다.
증시 거래대금은 코스피 12조1700억원, 코스닥 7조2400억원으로 집계됐다.
미국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시장 예상치를 웃돈 소식에 간밤에 뉴욕증시가 급락하고 국내 증시에도 하방 압력이 된 것으로 풀이된다.
미 노동부가 발표한 4월 CPI는 전년 동기 대비 8.3% 올라 전월의 8.5%보다는 상승률이 둔화됐으나, 시장 예상치인 8.1%를 상회했다. 근원 CPI도 전년대비 6.2% 올라 시장 예상치인 6%를 상회했다.
가상자산 정보업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비트코인 가격은 지난 2021년 11월 역대 최고점인 6만9000달러 대비 절반 수준인 3만 달러 밑으로 하락했다.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에서도 비트코인 가격은 4000만원대가 붕괴됐다.

사진= 한국금융신문
이날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13.3원 오른 달러당 1288.6원에 마감했다.
장중 원/달러 환율은 1291.5원을 터치했다. 장중 고점으로는 코로나19 확산이 시작된 지난 2020년 3월 19일(1296원) 이후 2년 2개월 여 만이다.
종가 기준으로는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가 미친 지난 2009년 7월 14일(1293원) 이후 13년 여만에 최고치다.
권아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원화 약세는 러시아발 전쟁, 미국 연준 긴축 및 중국 경기둔화 등 대외발 악재에 기인하며, 특히 중국 봉쇄 이후 전방위적인 이머징 통화 약세 속 최근 당국의 유의미한 개입 부재로 원/달러 환율은 연일 연고점을 경신하고 있다"며 "익숙해져야 할 레벨로, 하반기 원화 약세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판단했다.
반면 안전자산 선호에 국고채 금리는 하락했다. 윤석열닫기

이날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 최종호가수익률에 따르면,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전 거래일보다 2.8bp(1bp=0.01%p) 하락한 연 2.900%에 마감했다.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10.0bp 하락한 3.169%로 집계됐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