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합원 과반은 이 신임 총재의 취임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21일 한은 노조는 성명서를 통해 "한국 경제의 변곡점에서 구조선 역할을 해야 할 중앙은행이 내부적으로는 침몰 위기에 봉착한 가운데 난파선을 정상화하는 구원투수 역할"이라고 꼽았다.
노조에 따르면 지난 3월 25일부터 4월 1일까지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투표에 참여한 노조원 785명 가운데 443명(56%)이 이 총재의 취임에 '긍정적'이라고 답했다. '부정적' 답변이 32명(4%), '판단보류'는 310명(39%)이었다.
노조는 "신임 총재의 학계와 정부, 국제기구에서 쌓은 정책수행 역량의 탁월성과 전문성, 향후 직원들의 처우개선과 역량 개발 등에 대한 신임 총재의 노력 약속에 대한 기대감 등에 기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노조는 "지난 연말 실시한 노동조합 설문조사에서 조합원들은 내부출신 총재에 대한 실망감을 강하게 표출한 바 있다"며 "조직에 대한 자긍심 하나로 버텨온 직원들이 내부 출신이 아닌 외부 출신 총재를 선호한다는 이례적인 답변을 내놨다는 것은 한은 경영진의 부끄러운 민낯이며 가슴 깊이 새겨야 할 조직원들의 아픔"이라고 말했다.
노조는 "그간 한은은 정부 눈치 보기와 소극적 정책수행 등으로 '척하면 척', '면밀한 모니터링만 하는 한은' 등 국가 경제의 씽크탱크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스스로 옭아맨 측면이 있다"며 "이 신임 총재는 이러한 패배주의에 물든 조직 문화를 쇄신하는 동시에 한은이 대외적으로 국가와 지방자치정부, 민간부문 등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활용도가 높은 개방형 조직이 될 수 있도록 힘써야 할 것"이라고 제시했다.
이 총재는 이날 오후 서울 부영태평빌딩에서 취임식을 하고 4년 임기를 시작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